|
그는 한국의 대통령 선거가 60일 이내에 진행되는 것과 관련해 “한국의 민주주의가 결정할 일”이라고 말했다.
이날 이 자리에서 이시바 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과 관련해 “이것은 국가적 위기라고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서 “야당을 포함하여 초당적으로 고려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관세 산정의 근거를 이해할 수 없다면서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보복 관세와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을 언급하면서 “무엇이 가장 효과적인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시바 총리는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과 일찌감치 만나 각종 ‘선물 보따리’를 선사하는 등 관세 관련 대응에 나섰으나, 아직 관세 면제 등과 같은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5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품목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일부 주요 무역 상대국들에 대해서는 오는 9일부터 그보다 더 높은 관세가 부과되는데, 한국산 모든 제품에 대해서는 25%의 상호관세를 부과된다. 한국의 관세 및 비관세 무역장벽에 따라 미국 기업이 받는 차별을 해소한다는 명목이다.
이와 동일한 이유로 여타 국가별 상호관세율은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등이다. 특히 중국의 경우 트럼프 행정부는 앞서 20%의 보편관세를 부과, 이번 상호관세까지 포함하면 총 54%의 관세를 부과하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