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시에서 받은 최근 6년(2018~2023년)간 한강 교량별 자살 시도 및 투신 현황 자료를 인용해 전체 자살 시도자 4069명 중 남성이 2487명(61.1%), 여성 1079명(26.5%), 성별 미상 503명 등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2배 넘게 많았다고 전했다.
연도별로는 2018년 2배 정도였던 남녀 간 성별 차가 지난해 7배 넘게 커졌으며, 같은 해 투신시도자는 남성 288명(67.0%), 여성 142명(33.0%)이었다가 지난해 남성 798명(77.1%), 여성 114명(11.0%)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이같은 현상의 이유에 대해 “과거 한국이 가부장제와 남존여비 사상이 만연하던 시대였음과 달리, 2023년 기준 여성이 남성보다 약 5% 많은 여초사회로 변화되기 시작했다”며 “여성의 증가에 따라 남성의 노동력 부족, 결혼 상대를 구하기 어려운 남성의 증가로 인해 결혼 시장의 변화는 물론, 여성의 사회 참여로 인한 남녀역할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남성 자살 시도 증가의 일부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시대적인 배경 및 변화에 근거한 다양한 요인을 분석해 자살 시도자 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결혼 시장의 불균형 완화와 출산율 제고를 통해 젊은 남성의 자살 비율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계적인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정의당 마포구 지역위원회는 다음 날 논평을 내고 “‘여성 사회 참여 증가’가 남성 자살 증가의 원인이라는 주장은 반여성적이고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질타했다.
이어 “남녀 임금격차가 여전히 30%에 달하고 친밀한 관계에 있는 여성에 대한 교제폭력이 만연한 2024년의 대한민국에서 어떻게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가 ‘극복의 대상’이 될 수 있나”라며 “김 시의원은 자살률 증가의 원인을 구조적이고 총체적인 분석을 통해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책임 있게 해결책을 제시하는 대신 손쉽게 문제의 책임을 성차별을 벗어나려 몸부림치는 한국 사회의 여성들에게 전가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 사실이 알려진 후 온라인 등에서 논란이 일자 김 시의원은 지난 5일 여러 언론을 통해 진화에 나섰다,
그는 여러 언론에 반박·해명자료를 내고 “‘여초 사회’ 자체가 문제가 있다는 것이 아니다”라며 “MZ 세대 이후 여초 사회로의 변화로 인해 남성들의 직장문제, 결혼문제 등의 대두로 자살이 늘어나 이를 ‘여초 현상’으로 인한 주관적 의견을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초 사회’를 비하하려는 것은 전혀 아니다”라고 재차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