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일중 기자]미국과 중국 간 통상분쟁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산업연구원(KIET)의 분석결과를 인용해 미·중 간 상호 추가관세 부과가 우리나라 산업에 파급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화학, 전기전자산업은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15일 중국산 제품 1102개 품목에 관세 25%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이 중 818개 품목이 1단계로 7월 6일부터 추가관세가 발효되며 2단계 284개 품목은 추후 발효시점을 발표하기로 했다.
이에 중국도 같은 날 미국산 수입품 659개(1단계 545개, 2단계 114개)에 25% 추과관세 부과를 결정하고 맞대응에 나섰다.
미국의 대중 추가관세 부과대상 수입액은 466억 달러로 대중 수입의 9.2%, 중국의 대미 보복관세 부과대상 수입액은 483억 달러로 대미 수입의 32.3%를 차지하는 규모다.
KIET는 미·중간 1단계 관세부과가 시행되면 대중 수출은 1억 9000만 달러 감소하고 대미 수출은 5000만 달러 줄어들며, 국내 생산은 5억 7000만 달러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2017년 대비 대중 수출은 0.13%, 대미 수출은 0.07%, 명목 GDP 대비 0.04% 줄어드는 것으로 하며 제한적 영향에 그칠 것으로 분석했다.
대미 수출 영향이 대중 수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은 중국의 대미 추가관세 부과품목이 농림어업, 식음료, 자동차 등 일부 업종에 집중돼있어 한국의 대미 주력 수출 업종과 직접적 관계가 없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미·중간 2단계 관세부과까지 이뤄질 경우 피해액이 다소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ET는 한국의 대중 수출 및 국내생산이 각각 연 2억 7000만 달러, 6억 4000만 달러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으며, 대미 수출과 국내생산은 각각 연 6000만 달러, 1억 6000만 달러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별로는 정보통신·가전, 화학, 자동차·부품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했다.
대미·대중 수출이 정보통신·가전은 1억 7000만 달러, 화학은 4000만 달러, 자동차·부품은 2000만 달러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강성천 산업부 통상차관보는 “미중 무역분쟁이 어떻게 전개될지 아직 추정하기 어렵다”며 “여러가지 시나리오를 검토하면서 대응 계획을 마련 중에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