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中알리, 1.4조 투자로 韓 직구시장 베팅…K베뉴는 ‘매출 미미’

김미영 기자I 2024.03.14 18:36:55

알리, 한국정부에 향후 3년 사업계획서 제출
올해 안 대형 물류센터 구축…축구장25개 규모
고객센터 열고 환불·교환 편의 높여
“직구 더 편하게 빨리”…K베뉴는 아직도 초창기

[이데일리 김미영 한전진 기자] 중국 직접구매(직구)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가 한국시장 공략을 위해 향후 3년간 1조원 넘는 투자 계획을 세운 걸로 알려졌다. 수천억원을 투자해 올해 안에 대규모의 통합물류센터(풀필먼트)를 구축, 배송기간을 더욱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피해 우려가 점차 커짐에 따라 국내 소비자 보호책도 내놓는 등 숨 돌릴 틈 없이 한국 공략 고삐를 바짝 쥐는 모양새다.

이런 가운데 국내제품만 파는 알리의 K베뉴도 덩치를 키우고 있지만 아직은 내실이 약하단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 대형 물류센터, 올해 안 구축…교환·환불 편의성↑

14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알리의 모기업인 알리바바는 향후 3년간 11억달러(약 1조4471억원)를 투자하는 내용의 사업계획서를 최근 정부에 제출했다.

주요 내용은 △올해 안에 국내 18만㎡(약 5만4450평) 규모의 통합물류센터(풀필먼트) 구축에 2억달러(약 2632억원) 투자 △한국 셀러의 해외 판로 지원에 1억 달러(약 1316억원) 투입 △국내 소비자 보호에 1000억원 투자 등이다.

국내 물류센터 구축은 배송시간 단축을 위한 투자다. 18만㎡(약 5만4450평) 규모라면 축구장 25개와 맞먹어 국내에선 압도적 크기다.

국토교통부의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를 보면 쿠팡의 대구 달성군 물류센터(33만㎡), 물류업계 1위인 CJ대한통운(000120)의 경기 광주(22만7000㎡), 화성(20만5000㎡) 물류센터 정도만이 이보다 규모가 크다.↓

물류업계 관계자는 “알리 물류센터는 규모가 크지만 임대만 빠르게 이뤄지면 올해 안에 구축을 마치고 가동할 수 있다”며 “중국 직구 상품의 배송기간이 크게 단축될 것”이라고 했다. 빨라야 5~7일 걸리는 직구 상품을 물류센터에 보관해둔다면 익일배송을 할 수도 있단 관측이다.

알리는 이날 국내 소비자 보호책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정부가 해외 이커머스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 보호 강화 대책을 내놓은 지 하루 만이다. 알리는 고객센터 전화상담 서비스를 시작하고, 상품 결제일로부터 90일 이내 별도의 증빙이 필요 없는 무조건 반품 및 100% 환불을 약속했다. 배송이 일정 기간 이상 늦는 경우 100% 환불해주거나 주문 건당 1300원짜리 쿠폰을 준다.

(그래픽= 이미나 기자)
◇ K베뉴도 덩치 커지지만…“매출 안 나오네”

알리가 직구를 넘어 국내 유통시장에도 공을 들이면서 한국제품전문관인 K베뉴에 입점하는 업체도 계속 늘고 있다. 식품업계에선 최근 CJ제일제당(097950)이 합류한 데 이어 농심(004370), 대상(001680) 등도 입점을 저울질 중이다.

다만 ‘입점·판매 수수료 0원’ 혜택을 받고 먼저 입점한 업체들 사이에선 “K베뉴를 통한 매출은 미미한 편”이란 반응이 많다. 한 식품업체 관계자는 “두어달이 지났지만 하루 매출이 10만원 안팎에 불과하다”고 했고, 생활용품업체 관계자도 “다른 국내 이커머스와 비할 바가 못된다”고 잘라 말했다.

유통업계에선 K베뉴가 작년 10월 론칭해 아직 인지도가 낮은데다 국내 이커머스과 비교하면 경쟁력도 떨어진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 한 관계자는 “K베뉴는 수수료는 안내도 납품물량이 다르니 대체로 납품가격이 높고 새벽배송 같은 빠른 배송도 되지 않는다”며 “소비자들은 굳이 한국제품을 알리에서 살 필요를 못 느끼는 것 같다”고 했다.

초저가를 앞세운 알리의 이미지 때문에 입점을 꺼리는 곳들도 있다. 화장품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이커머스는 할인해주는 개념이지만 알리는 ‘싸구려’ 인식이 있어 업체들이 입점을 주저하고 있다”며 “중국 플랫폼이기 때문에 국민정서도 고려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일단 관망하는 업체들도 다수 있지만 알리가 지금의 기조대로 한국 공세를 이어간다면 입점 업체는 계속 늘어날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린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판매로를 확대하는 건 좋지만 정부 눈치를 보는 중”이라며 “알리 영향력이 얼마나 빨리, 얼마만큼 커지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