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18 조사위에 따르면 5·18 민주화운동 진압 작전에 참여한 현장 계엄군 2800여명과 경찰, 지휘관과 책임자, 사건 피해자들과 그 가족, 목격자와 참고인 등 수천명에 대한 대인 조사를 벌였다. 또 60만건 이상의 문헌과 2.2테라바이트(TB)가 넘는 전자문서를 수집해 분석하고 400여회에 걸쳐 현장 조사를 했다.
어울러 진압작전 현장에서 사망했거나 광주 외에도 나주·영암·목포·해남 등 지역에서 실종된 후 유해를 찾지 못한 총 242명의 행방불명자(인정 행불자 78명 포함) 소재도 일부 확인했다. 조사위는 이날 추가로 공개한 전남 해남군 한 예비군 훈련장 유해 3구를 포함해 영암 공동묘지 제보 현장 6구, 해남군부대 인근 2구, 광주교도소 앞 야산 1구 등 가매장 혹은 암매장된 총 12구의 행불자 유해를 발굴·수습해 유전자(DNA) 검사 등 신원 확인을 진행하고 있다.
송선태 위원장은 “지난 43년 동안 5·18민주화운동의 진상을 은폐·왜곡하는 과정에서 많은 기록이 은멸됐고, 특히 육군본부 등 진압작전 관련 부대가 작성한 핵심문서들이 대부분 행방이 묘연하다”면서 “당시 문서작성 관계자를 찾아 관련 사실을 확인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압수수색 등 법적 조치도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
이 밖에도 조사위는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신군부 세력인 고(故) 전두환 대통령이 군 보안사령부 공식 라인 외 별도 보고를 받아 발포 명령을 내린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복수의 관계자 증언을 확보했다. 조사위는 진압작전 현장에 있었던 계엄군과 지역주민 등의 진술 및 증언을 통해 사건을 재구성하고 훼손·변형된 현장을 최대한 복원해 재현하는 한편, 미해결 의혹과 관련해선 국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교차검증을 통해 확실한 증거능력을 유지한단 방침이다.
송 위원장은 “지난 43년 동안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한 조사는 다각도로 이뤄져 왔고 공식적인 조사만 9차례 있었지만, 여전히 많은 의혹과 쟁점이 해소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면서 “광주 유혈 진압에 책임이 있는 핵심 인사와 지휘관들은 조사 과정에 성실히 임했으나, 특히 발포와 관련해서는 대부분 부인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아직도 주저하거나 진실을 토로하지 못한 채 무거운 기억을 보듬고 사는 계엄군들의 양심 고백과 증언이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진실 규명을 통한 국민 통합 기여’라는 입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출범한 5·18 조사위는 2020년 5월11일 조사를 시작해 올해 12월16일 종료할 예정이다. 조사 활동의 최종 결과는 국가 종합보고서로 발간해 내년 6월에 상세하게 국민 앞에 보고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