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 대표는 20일 오후 청와대 앞에서 본격적인 단식을 알리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황 대표의 요구는 △지소미아 파기 철회 △공수처법 포기 △연동형 비례대표제로의 선거법 개편 철회 등 세 가지다. 특히 그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로의 선거법 개편 대해서 “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은 결코 한국당의 유불리에 관한 문제가 아니다”고 소리를 높였다.
그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로의 선거법 개편은 국민의 표를 도둑질해 문재인 시대 혹은 문재인 시대보다 더 못한 시대를 만들어 가려는 사람들의 이합집산법”이라며 “‘자신들을 위한 밥그릇 늘리기 법’”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단식을 시작하며 저를 내려놓겠다. 모든 것을 비우겠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딱 1년 전 이맘때 손학규 대표의 단식과 ‘데자뷔(Deja vu)’를 떠올린다. 앞서 손 대표는 지난해 예산안 정국이 끝난 12월 6일 의원총회에서 “저를 바치겠다. 오늘 이 시각부터 저는 단식에 들어간다”며 농성에 돌입했다. 당시 단식의 목적은 연동형 비례대표제로의 선거법 개편이었다.
|
1947년생 손 대표의 단식은 열흘째인 12월 15일에 5당 원내대표가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골자로 한 선거제 개편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합의하면서 종지부를 찍었다. 당시 손 대표의 단식은 이정미 당시 정의당 대표의 동조 단식,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의 연대 농성 등을 이끌며 소수정당을 하나로 모으는 계기가 됐다.
다만 황 대표의 농성에 대해서는 벌써 한국당을 제외한 4당은 비아냥 섞인 논평을 내놓았다. 민주당은 “황 대표의 단식은 떼쓰기, 국회 보이콧, 웰빙 단식 등만 경험한 정치 초보의 뭐라도 해야 할 것 같은 조바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고 비꼬았다.
소수정당들도 “황 대표의 단식은 명분도 당위성도 없다”(바른미래당), “앞뒤도 맞지 않고 타이밍도 뜬금없다”(정의당), “대권가도만 생각하는 소아병적인 행태”(민주평화당)라며 혹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