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양측간 협의를 한 결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접견과 만찬을 오후 6시(한국시간)부터 진행키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6일에야 대북 특사단이 김 위원장과 접견할 것이라던 예상이 빗나간 셈이다.
그간의 전례에서 대북 특사단이 김 위원장과의 면담할 수 있는 시점은 1박2일의 일정이 마무리되는 6일이 될 것이라는 게 중론이었다. 지난 2007년 김만복 당시 국가정보원장이 2차 남북정상회담 조율을 위해 1박2일 일정으로 방북했을 때나 2005년 정동영 당시 통일부 장관이 3박4일의 일정으로 방북했을 때 김정일은 마지막 날 면담 일정을 잡았다.
그러나 지난 2월 평창 동계 올림픽을 축하할 북측 고위급 대표단에 이른바 ‘백두혈통’인 여동생 김여정 당 중앙위 제1부부장을 내려보냈던 김 위원장은 이번에도 파격적으로 남측 대북 특사단을 환대했다. 그만큼 강력한 남북 교류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도 풀이된다.
이미 김영남 최고위원회의 상임위원장과 김여정 제1부부장, 김영철 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등 북측 고위급 인사가 두 차례 방남하며 우리 측 의사를 확실하게 파악한 만큼, 탐색전 대신 속도전으로 대화를 시도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또 문재인 대통령이 여동생 김여정 제1부부장이 포함된 북측 고위급 대표단에 대해 극진하게 환대를 한 점도 우리 측 대북 특사단에 대해 발 빠른 환대를 결정한 배경으로도 여겨진다. 이번 대북 특사단이 당시 특사 자격으로 방문한 김여정 제1부부장의 답방 차원에서 이뤄진 점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이 남북 교류에 대해 속도전을 선택하면서 문 대통령이 취임 이후 줄곧 주력해온 한반도 문제가 빠르게 풀릴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쳐진다. 문 대통령은 집권 이후 국제 사회에서 베를린 구상 등을 통해 한반도 문제 해결에 대한 굳건한 의지를 보였다. 지난해까지 핵개발에 매진하던 김 위원장이 이에 호응해오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상황이 빠르게 전개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