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티메프, 출자전환·무상감자 제시…채권단, 소액 우선변제 '퇴짜'

최오현 기자I 2024.08.13 17:52:46

티메프, 13일 첫 채권단과 협의나서
소액우선변제 후 출자전환과 무상감자 제안
채권단 "소액채권 우선 변제 대신 정상화에 투자"
류화현 대표 "투자 비용 통해 정상화 방안 담을 것"

[이데일리 최오현 송승현 기자] 법원에 회생을 신청한 티몬·위메프(티메프) 측이 소액 채권을 우선 변제한 뒤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무는 전액 출자전환 후 무상감자하겠다고 밝혔다. 판매업체 미정산 대금에 대해선 분할변제안 또는 일정 비율 채권 일시 변제와 출자전환을 병행하는 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채권단은 소액채권 우선변제 방식보다는 정상화에 투자하라는 의견을 전달했다. 티메프 측은 관련 내용을 포함한 수정된 자구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신정권(왼쪽부터) 판매업체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와 류화현 위메프 대표, 류광진 티몬 대표가 13일 서울 서초구 서울회생법원에서 열린 티몬·위메프 회생절차 협의회를 마친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사진=방인권 기자)
서울회생법원 제2부(재판장 안병욱 법원장·주심 양민호 부장판사)는 13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회생법원에서 티메프와 채권단 간 첫 협의회를 진행했다.

법원에 따르면 티메프 측은 이날 크게 4가지 방안의 변제안을 내놨다. 미정산 파트너 등 소액 채권자의 채무의 일정금액을 우선적으로 변제해 티몬 4만명, 위메프 6만명 등 총 10만명의 채권 상환을 완료하겠단 내용이 담겼다. 또 이들 중 채권 금액대가 큰 미정산 판매자에 대해서는 분할 변제하거나 일정 비율을 일시 변제하고 나머지에 대해선 출자전환하는 형식을 언급했다. 출자전환이란 기업의 부채를 주식과 맞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기관과 같은 특수관계자 채권단에 대해선 전액을 출자전환한 뒤 무상감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특수관계자 채권액은 티몬이 지난 6월말 기준 약 2000억원, 위메프가 300억~400억원 수준이다. 티메프는 감자를 통해 자본잠식 상태인 재무 건전성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에스크로 계좌를 도입하고 정산금 결재 주기를 ‘배송완료 후 다음날’로 하는 경영 정상화 방안도 제시했다.

이날 협의회에서 채권단은 티메프 측의 자구안에 대해 난색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류화현 위메프 대표는 협의회를 마친 뒤 “참석한 채권자들은 소액채권자 우선변제 대신 그 비용을 투자해서 플랫폼을 정상화해야한다는 의견을 줬다”며 “이커머스 기업은 제조업과는 ‘멜팅 아이스’(Melting Ice)라는 표현을 주시면서 시간이 흐를수록 빨리 녹기 때문에 정상화 시점을 빨리 당겨야 한다는 의견을 줬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티메프 측은 기존 자구안에 담겨 있던 소액채권자 우선 변제 방식 대신 유치한 투자 비용을 각사 정상화에 쓰겠단 내용을 담을 예정이다. 다만 실제 투자자를 확보하기 전까지 자구안 실현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티메프 모두 정상화를 위해 필요한 투자 비용으로 각각 1000억원을 추산했다. 티메프 측은 현재까지도 투자자를 유치하지 못한 상태다.

이날 협의체에 참석한 신정권 판매업체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소액채권자 우선 변제 계획은 채권자 수를 줄이기 때문에 티메프를 위한 정책으로 받아들여졌다”며 “티메프가 제출한 정상 운영 계획이 구체적이지도 현실적으로 받아들여지지도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고 설명했다.

법원은 오는 30일 오후 3시 두 번째 협의회를 갖기로 했다.

티몬·위메프(티메프)의 대규모 정산·환불 지연으로 피해를 입은 판매자·소비자 120여명이 13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소재 티몬 본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구호를 제창하고 있다. (사진=김형환 기자)
한편 티메프 피해 판매자와 소비자 120여명은 이날 불볕 더위 속에서 ‘검은 우산’을 쓴 채 집회를 열고 피해 회복을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 오전 서울 강남구 신사동 소재 티몬 본사 건물 앞에서 “피해규모에 적합하고 사회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피해 복구와 구영배 사단의 미정산·미환불 사태에 명백한 책임을 묻고 끝까지 수사될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피해 판매자와 소비자들은 연합체를 발족하고 “공동 집회를 통해 같은 주장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피해자 연합체는 피해자 구제를 위한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가 대책으로 발표한 긴급경영안정자금의 경우 기준이 높고 이자율도 높아 감당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이날 집회에서 만난 피해 판매자들은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출범해 주변 판매자를 조사한 결과 약 70개의 회사가 이번 달 현금 유동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파산이나 회생을 검토할 상황”이라며 “시급히 이를 대처하지 않으면 이번 달을 시작으로 연쇄적인 파산과 회생이 반복돼 도산하는 업체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