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발단은 1954년 수원시 권선구 장지동 일대(522만1092㎡)에 들어선 10전투비행단이다. 이후 1990년대 수원지역에 택지개발이 가속화되면서 도심 속 공항을 형성하게 됐다. 이로 인한 인구 급증으로 인근에는 비행기 소음, 고도 제한 등으로 피해를 겪는 시민들이 반발하면서 군 공항 이전문제가 본격 수면으로 떠올랐다.
이후 2013년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됐고, 2014년 수원시는 국방부에 군공항 이전을 건의서를 제출했다. 2017년 국방부는 예비후보지로 화성 화용지구를 선정했다.
이에 즉각 화성시는 반발했다. 화옹지구의 생태적 가치와 공정성과 객관성이 결여됐다며 극렬히 반대해 답보 상태놓였다. 시민들은 반대 대책위를 꾸리 집단 반발에 나선 것이다. 수원시는 ‘경기남부 통합 국제공항’이란 새로운 카드를 꺼내들었지만 여전히 화성지역 민심을 돌리기는 쉽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김동연 경기도지사 당선인은 수원 군공항 이전 문제에 대해 찬성 입장을 밝히며 ‘경기국제공항’ 건립 추진을 제시했다. 전담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군공항 이전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운 이재준 수원시장 당선인도 인수위에 군공항 이전 TF팀을 이미 꾸렸다.
이 당선인은 시민 참여 공론화를 통해 군공항 이전 문제도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이 당선인은 선거 기간 내내 군공항 이전에 대한 의지와 공론화 도입 필요성을 주장했다.
게다가 윤석열 대통령 당신인도 군 공항 소음 피해 지역을 돌며 주민을 만난 이전 문제 해결을 약속했다.
정작 경기도와 수원시·화성시는 같은 당(더불어민주당) 소속이지만 다른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단기간에 합의점을 찾을지는 현재로서는 미지수다.
정명근 화성시장 당선인은 수원 군공항 이전을 화성으로 이전을 반대했다. 그러면서도 조건부 검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정 당선인은 “정부의 국제공항 건립계획 등 종합적인 검토가 있다는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겠다”면서 “화성시민이 주체임에도 끌려다녔는데 이젠 이전에 대한 평가를 화성시민들이 해야 한다”고 밝혔다.
화성 화옹지구로 군공항 이전은 반대하지만 정부의 국제공항 건립계획 등과 연계된다면 지역 주민 의견을 수렴해 공식 논의해보겠다는 것이다.
여기에 차기 국회의장으로 낙점된 김진표 의원 지원 사격도 기대하는 분위기다. 김 의원은 그동안 ‘군공항 이전 및 지원 특별법’을 발의하는 등 군공항 이전에 심혈을 기울였다.
앞서 김 의원은 지난 2020년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을 발의지만 국회서 계류 중이다.
선거때만 되면 수원 군공항 이전 문제는 표심을 사로잡을 후보들의 단골 공약이었다. 해묵은 지역 최대 현안이 공염불로 그칠지 시민들의 시선은 교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