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은 이날 전주 효성첨단소재 탄소섬유 공장에서 진행된 ‘탄소섬유 신규투자 협약식’에서 “특정국가 의존형 산업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며 “탄소섬유 등 100대 핵심 전략품목을 선정하여 향후 7년간 7~8조원 이상의 대규모 예산을 투자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정부는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우대국)에서 제외한 이후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6대 분야의 100대 핵심품목을 1~5년 내 국내 공급하기 위해 R&D 투자에 7년간 약 7조 800억원 이상을 투입하겠단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이 이날 핵심품목 가운데 하나인 탄소섬유 생산 현장에서 이같은 계획을 재확인하며 국산화의 의지를 다진 것이다. 문 대통령은 또 자립화가 시급한 핵심 R&D에 대한 예타 면제 추진 방침을 밝혔는데, 실제 이날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 국무회의에서 탄소섬유 등 대일 의존도가 높은 소재·부품·장비 R&D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하는 안건이 의결됐다.
문 대통령은 일본의 경제보복을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강조해왔다. 문 대통령은 앞서 지난 7일 로봇용 하모닉 감속기 기술을 자체 개발한 기업 방문 현장에서도 “일본의 부품·소재에 대한 의존도가 컸던 그런 기업들에게 당장 어려움이 되고 있지만 길게 보고 우리의 산업생태계를 바꾸는 그런 기회로 삼아나갔으면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특히 “핵심소재의 특정국가 의존도를 줄이는 데에서 나아가 ‘제조업 르네상스 전략’을 통해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더욱 높이고,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수소경제와 같은 미래 신산업을 적극 육성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의 경제보복 사태를 계기로 뿌리산업을 다지고 이를 발판으로 미래산업 선도 국가로 올라서겠다는 비전을 제시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를 위해 R&D 투자뿐 아니라 M&A를 통한 해외기술 확보에도 나서겠다고 밝혔다. 자체 기술 개발이 시간이 소요되는 분야에서의 적극적인 M&A와 그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은 특히 김현종 국가안보실 제2차장이 강조해온 것이기도 하다. 김현종 2차장은 지난 12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연구·개발만 해서 시간이 많이 걸리니까 거기에만 의존할 수 없는 게 우리가 인센티브를 주어서 우리 기업들이 핵심 기술 분야의 기업들을 M&A를 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충분히 줘야 된다”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