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상형 한은 부총재보는 9일 3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 기자브리핑에서 “연준 통화정책이 예상보다 긴축 강도가 강화되고 유럽중앙은행(ECB)도 금리가 상당폭 인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며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 등을 4월 (11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준은 3월 FOMC회의에서 금리를 50bp 인상한 5~5.25%로 결정할 가능성이 높다. 7월 전망에 반영된 연준 최종금리가 5.5~5.75%가 될 확률은 40%가 넘고 5.75~6%가 될 확률도 30% 중반 수준이다.
가만히 있다간 한미 금리 역전폭은 역사상 최대폭인 1.5%포인트를 훌쩍 넘은 2.25~2.5%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이창용 총재는 2월 기자회견에서 “국내 요인을 보면서 (금리를 결정할 수 있는) 쪽으로 좀 더 많은 변화가 있었다”면서도 “연준으로부터 독립했다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즉, 연준의 긴축이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만큼 빨라지면 한은의 금리 결정도 뒤바뀔 수 있다는 얘기다.
이날 발표된 통신보고서는 한은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에 일부 힘을 실어주고 있다. 한은은 “환율은 대외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지만 기준금리 인상이 연준의 빠른 긴축에 따른 환율 상승 압력을 일부 완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분석 결과 미국 금리 인상은 2019년말 대비 누적으로 환율을 100원 가량 끌어올렸지만 한은 금리 인상은 환율을 20원 가량 떨어뜨렸다. 올해 들어 연준의 최종금리가 5%에서 5.5%, 또 다시 6%까지 상향 조정되는 과정에서 달러인덱스는 105선 중후반까지 올라 2.1% 가량 상승했으나 원·달러 환율은 1320원대까지 올라 원화 가치는 달러화 대비 무려 4.4%나 급락했다.
외국인 채권자금의 유출 상황도 부담이다. 1월엔 53억달러가 순유출돼 월간 기준 역대 최대 유출세를 보였고 2월엔 순유출 규모가 이보다는 축소됐지만 채권 투자금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공공자금의 순투자는 언제 재개될지 미지수다. 한은은 최근 금융·경제 이슈 분석 보고서에서 “공공자금이 당분간 순유출세를 이어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연초 포트폴리오 조정이 여러 달에 걸쳐 진행될 수 있는 가운데 경상수지 부진이 지속될 경우 우리 경제에 대한 시각 변화로 자금의 추가 유출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 부총재보는 “외국인 채권자금 유출입은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여부 등이 상당히 영향을 줄 것인데 내외 금리차도 일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WGBI 편입 시기는 3월보다는 9월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어 당분간 채권 자금 유입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을 전망이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위원은 “미국이 FOMC 회의에서 50bp 금리를 인상할 경우 우리나라 4월 금리 인상은 사실상 확정적”이라며 “국내 경기, 물가 흐름은 변화가 없지만 연준 긴축으로 환율이 오르는 상황이라 정책 당국 입장에서 금리 인상으로 대응하는 것이 편할 것”이라고 밝혔다.
◇ “경기, 미국과 다르다”…과잉 긴축 우려 커질 듯
그러나 연준을 따라 금리를 인상할 경우 ‘과잉 긴축’ 우려가 커질 수 있다. 한 금통위원은 “미국은 과소 긴축을 걱정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이와 달리 과잉 긴축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기준금리 3.5%는 경기를 갉아먹는 긴축 수준인데 여기에 한 발 더 나가 3.75%까지 올릴 경우 경기 침체 우려가 더 커질 수 있다. 한은 모형 분석 결과 2021년 8월부터 올 1월까지 1년 반 동안 진행된 기준금리 3%포인트 인상이 올해 물가상승률을 1.3%포인트 떨어뜨릴 것이라고 분석했지만 동시에 성장률을 1.4%포인트 갉아먹을 것으로 예측했다.
김명실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경제지표가 안 좋게 나오면서 1분기 역성장 가능성이 있고 물가도 3월엔 4.5% 하회할 가능성이 있다”며 “국내 펀더멘털로만 보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제로”라고 설명했다.
윤 연구원도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과잉 긴축 우려가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윤 연구원은 “우리나라 부동산 구조조정, 가계부채 측면에서 받아야 할 리스크가 훨씬 더 커진다”며 “한미 금리 역전폭이 커진다고 자본유출에 대한 리스크가 큰 것인지에 대해서도 반문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자본이동이 금리 하나만 갖고 움직이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한은은 주택 가격이 여전히 소득, 사용가치 등에 비해 높다고 평가했지만 올해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주택 가격 급락시 비은행 금융기관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 금융 부실화 우려도 커진다. 비은행권의 PF규모는 작년 9월말 109조8000억원에 달하고 연체율도 작년 내내 상승, 0.77%로 2018년 12월(1.03%)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