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사업은 우체국의 인적 네트워크인 집배원이 지역 내 사회적 고립가구를 사전에 파악한 뒤 복지서비스와 연계해 고독사 위험요인 등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마련됐다.
작년 시범사업 결과 15개 지자체에서 2656가구에 안부 확인, 공공·민간 복지자원서비스 연계·지원 등 총 6240건의 안부살핌 우편서비스를 제공했다.
올해 확대 선정된 31개 지자체는 집중 관리 대상 가구를 선별해 1~4주 단위로 필요한 생필품을 마련해 우체국 집배원을 통해 대상 가구에 배송하게 된다.
31개 지자체는 △서울(강남구) △부산(동래구·강서구·사상구·서구·기장군) △대구(동구) △대전(중구) △울산(울주군) △경기(동두천시) △강원(강릉시·영월군) △충북(청주시·옥천군) △충남(금산군) △전북(남원시·익산시·장수군) △전남(강진군·해남군·장흥군) △경북(구미시·안동시·고령군·성주군·의성군) △경남(거창군·고성군·산청군·창녕군·함양군) 등이다.
우체국 집배원은 배송 과정에서 대상 가구의 생활 실태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지자체에 회신해 위기상황 발생 시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행안부는 선정된 지자체에 물품구매와 운영 등에 드는 비용을 국비로 지원한다.
조해근 우정사업본부장은 “우체국은 국민 곁에서 지역사회의 어려움을 살피고, 소외된 이웃을 보살필 것”이라며 “행안부, 지자체와 적극 협력해 위기가구 발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구본근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추진단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는 안부살핌 우편서비스 사업을 더욱 확대하여 사회적 고립가구의 안부를 주기적으로 살필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