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자영업·도소매·제조업 여전히 어려워…`완전한 고용 회복` 먼 길

이명철 기자I 2021.10.13 16:07:42

지원금·추석 영향 9월 취업자 67만여명↑…7년반만 최대
민간 일자리도 개선, 홍남기 “단계적 일상 회복, 불확실성 덜 것”
도소매업·제조업 부진 이어져…산업 구조 전환 대응책 시급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공지유 기자] 코로나19 4차 확산에도 취업자수는 전년동월대비 7개월 연속 증가하며 회복세를 이어갔다.

고용시장이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을 거의 회복했다는 게 정부 판단이지만 고용 취약계층인 자영업자와 일용직 감소폭은 심화하는 등 약한 고리의 어려움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구조 변화를 겪고 있는 도·소매업과 제조업은 공급망 차질 등까지 겹치면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취업자수·고용률·실업률, 6개월째 ‘트리플 개선’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수는 전년동월대비 67만 1000명 늘어 3월부터 7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취업자수 증가폭은 2014년 3월 이후 7년 6개월만에 최대 수준이다.

지난달 20일 서울 망원시장의 한 점포에 국민지원금 이용 가능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고용률은 61.3%로 같은 기간 1.0%포인트 상승하고 실업률은 2013년 9월 이후 최저치인 2.7%를 기록하는 등 고용 3대 지표가 6개월 연속 동반 개선했다.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계절조정 기준 취업자수는 2745만4000명으로 코로나 사태가 불거지기 직전인 지난해 2월(2750만8000명)의 99.8% 수준까지 회복했다.

코로나19 확산세에도 민간·공공 일자리가 모두 개선하는 등 고용의 질적 회복이 두드러졌다는 게 정부 평가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비대면·디지털 전환 관련 분야 증가가 두드러진 가운데 서비스업 중심으로 민간 일자리가 크게 회복했다”며 “공공행정·보건복지업 취업자는 27만9000명 증가해 민간 일자리를 보완했다”고 분석했다.

대면 서비스업 중 숙박·음식업 취업자수는 전년동월대비 3만9000명 늘어 증가 전환했고, 교육서비스업(9만8000명)은 증가폭이 확대됐다. 상대적으로 안정적 일자리가 많은 상용직은 1년 전보다 51만5000명 늘었고 취업시간별로도 36시간 이상 취업자수가 41만2000명 늘어 17시간 미만(34만명) 증가폭을 크게 웃돌았다.

연령층별로 보면 60세 이상 취업자수가 전년동월대비 32만3000명 늘어 전체 증가분의 절반 가량을 차지했지만 20대(20만2000명), 50대(12만4000명), 40대(1만8000명) 등 대부분이 증가했다.



정부는 코로나19 사태가 안정되면서 고용시장의 완전한 회복을 예상하고 있다. 홍 부총리는 “백신 접종 확대에 맞춰 방역과 경제가 조화를 이루는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 나아가 고용시장의 방역 불확실성을 덜어 내겠다”고 강조했다.

◇“고용 회복 일시적…핵심 민간일자리 확충 지원해야”

그러나 지난 달 고용지표 개선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국민지원금 지급, 추석 연휴 등이 겹쳤던 영향이 컸던 만큼 아직까지 고용시장이 완연한 회복세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는 의견도 많다.

윤동열 건국대 경영학부 교수는 “지난 달 백신 접종률 향상과 국민지원금 지급에 따른 소비 증가, 연휴 효과 등이 영향을 미쳤다”며 “고용이 완전히 회복했다고 보려면 결국 수요가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가는 방법 밖에는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고용 취약계층 어려움도 여전하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전년동월대비 4만8000명 줄어 장기 감소세를 이어갔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가 같은 기간 2만2000명 늘었음을 볼 때 직원이 그만두고 홀로 일하는 경우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상용·임시직은 늘었지만 일용근로자는 12만1000명 줄어 전달(-8만9000명)보다 감소폭이 확대됐다.

산업별로 보면 도매 및 소매업 취업자수는 1년 전보다 12만2000명 줄었다. 수출 증가로 회복 기미를 보였던 제조업(-3만7000명)도 2개월째 줄었다. 자동차 부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으며 생산 차질을 빚은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도소매업과 제조업의 경우 디지털화 압력을 크게 받는 산업이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 악화와 구조 전환까지 맞물려 많은 직장인들이 취업 전선에서 물러날 여지가 큰 상황이다. 정부도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한 사업구조 개편 활성화 방안과 공정 노동 전환 지원 방안 등을 추진할 계획이지만 실효성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제조업·도소매업은 핵심 민간 일자리인데 구조적 문제로 산업이 위축될 경우 고용 여건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며 “제조업체 인센티브 등 정책을 펼쳐 외부 유출을 막고 플랫폼의 영향을 받는 도소매업은 온라인 역량을 키우도록 기술 혁신을 지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