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재양성전략회의‘를 열었다. 이번 방안의 골자는 ‘대학-출연연 벽 허물기 추진전략’과 ‘5대 우주강국 도약을 위한 인재양성방안’이다.
앞으로는 대학과 출연연 간 협력을 가로막던 인적·물적 규제가 대폭 완화된다. 정부는 대학의 주요 보직에 출연연 연구자도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방형 공모제를 도입하고, 우수한 교원과 연구자에게 파격적인 처우를 제공하는 특례 제도를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대학과 출연연 간 연구자 교류 촉진을 위해 ‘연구자 교류형’ 사업은 월 최대 170만 원, ‘연구팀 교류형’ 사업은 월 최대 900만원의 재정 지원을 신규로 투입한다. 또한, 대학 캠퍼스 내 출연연 분원과의 협력 프로그램을 활성화해 학연산 공동의 R&D 클러스터도 구축한다.
이와 함께 대학과 출연연이 공동 운영하는 연구소와 연구실을 적극 확대하고, 공동 투자를 기반으로 한 연구소 기업 설립과 기술 사업화를 통해 R&D 성과 확산에도 집중할 방침이다.
정부는 우주 분야 인재를 연간 1500명씩 양성해 2045년까지 총 3만 명의 신규 전문 인력을 확보할 계획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초·중·고교의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한 우주교육 프로그램을 본격 추진하고, 청소년 대상 우주 캠프와 경연대회 등을 통해 우주문화 저변을 확대한다.
또한, 지역 대학과 협력해 맞춤형 우주항공 특화 전공을 운영하고, 산업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직무 중심의 인력 양성 교육도 강화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글로벌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국제 공동연구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하고, 글로벌 우주인재 양성에도 속도를 낸다.
정부는 이번 제4차 회의에서 ‘항공·우주·미래모빌리티(A)’ 분야 전략을 발표함으로써 인재양성전략회의 출범 당시 제시된 5대 핵심 첨단분야(A: 항공·우주·미래모빌리티, B: 바이오헬스, C: 반도체, D: 디지털, E: 환경·에너지)의 인재양성 전략 체계를 완성했다.
회의를 주재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대학과 출연연 간 벽 허물기를 통해 혁신적인 연구와 교육 생태계를 조성하고 5대 우주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전방위적 인재 양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