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계엄군, 5·18 당시 최소 20곳서 50여회 시민들 향해 발포"

권오석 기자I 2023.05.16 17:30:17

16일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대국민 보고회
"앉아 쏴’와 ‘서서 쏴’ 자세로 동시에 여러 곳에서 사격"

[이데일리 권오석 기자]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시민들을 향해 최소 20곳에서 50여회에 걸쳐 발포한 것으로 조사됐다.

왼쪽부터 이종협 상임위원, 송선태 위원장, 안종철 부위원장이 대국민보고회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조사위)는 16일 종로구 사무실에서 대국민보고회를 열고 “발포의 지휘계통과 연관된 중요인물 70여명을 조사했으며 이들로부터 실탄 배분, 발포 과정과 사후 조치, 상급자의 지시 여부 등을 조사했다”고 이 같이 밝혔다. 시민을 향한 계엄군의 총격 횟수가 구체적인 조사를 통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위는 광주·전남 지역의 계엄군 진압 작전을 재구성하고 총상에 의한 사망자·부상자를 지도상에 표기해 분석했다. 조사위에 따르면 계엄군의 첫 발포는 1980년 5월 19일 오후 4시 50분쯤 광주고등학교 앞에서 시작됐다.

이어 20일 오후 11시쯤 광주역 인근에서 발포가 이뤄졌고, 21일에는 11공수여단과 7공수여단이 배치된 전남도청 일원 및 3공수여단이 배치된 전남대 일원에서 총격이 있었다. 이외에도 조선대 앞, 학동, 지원동, 송암동 등 계엄군이 배치된 대부분 작전 지역에서 발포가 있었다.

병원진료 기록과 보상심의서류를 분석한 결과, 총상에 의한 사망자는 총 135명이고 부상자는 최소 300명이었다. 많은 피해자가 머리와 가슴 등 치명적 부위에 총상을 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총격 등 계염군의 폭력적인 진압에 의한 사망자는 166명이었으며 이중 14세 이하가 8명, 장애인과 60세 이상은 5명이었다. 진료기록과 보상심의서류로 분석 가능한 상해 피해는 2617명으로 확인됐다.

조사위는 “5월 21일 오후 1시쯤 시위대의 화염병 투척 및 장갑차 돌진 후 이뤄진 계엄군의 집단 발포 이전에 이미 일부 병력에 실탄이 분배됐다는 사실을 현장에 있던 계엄군의 진술과 현장 사진 등으로 확인했다”며 “특히 장갑차 기관총 사수로부터 장갑차 기관총에도 하루 전인 5월 20일부터 실탄이 장착돼 있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당시 대대장의 체험수기와 1995년 검찰 진술, 현장 취재기자들의 증언을 통해 도청 앞 집단 발포 상황에서 공수부대가 흩어져 횡대로 ‘앉아 쏴’와 ‘서서 쏴’ 자세로 동시에 여러 곳에서 사격했음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즉 우발적이 아닌 의도적인 발포였다는 의미다.

조사위는 “5월 20일 광주역 발포, 5월 21일 도청 앞 발포에 따른 사상자가 다수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엄군 현장 지휘관은 물론 계엄사령부도 발포 현장을 엄격히 통제하지 않았으며 그에 따라 총상 피해자는 더욱 늘어났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코브라 공격헬기에서 20㎜ 벌컨 연습탄 사격이 이뤄진 정황도 발견됐다. 조사위는 2022년 3월 헬기 사격이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 조선대 절토지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20㎜ 벌컨 연습탄두 1개를 발견했다. 벌컨포 특성상 단발 사격은 불가능해 주변을 수 차례 추가 조사했지만 탄두를 더 발견하지는 못했다.

한편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만들어진 조사위는 2020년부터 조사를 시작해 올해 12월 26일 활동을 종료한다. 조사위는 내년 6월 종합보고서를 채택, 대정부 권고안을 제시한다. 이날 대국민 보고회가 그동안의 조사를 총망라하는 사실상 마지막 자리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