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0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20일 오전 서울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4만3000여 우정종사자와 전국 3380개 우체국을 통해 시중은행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이른바 ‘우체국 금융 허브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김기흥 대통령직인수위 부대변인은 “최근 은행점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우체국 금융창구에서 시중은행 서비스를 통합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과 노령층 등의 이용 편의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며 “주요은행 등과 논의를 통해 이르면 올해 말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수위가 우정사업본부와 추진키로 한 이러한 계획은 금융위가 연간계획을 통해 추진키로 한 ‘우체국에 대한 업무위탁 확대’와 맞닿아 있다.
금융위는 금융분야의 디지털전환에 대비해 소비자 보호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은행들을 상대로 △우체국에 대한 업무위탁 확대 방안 △전국 ATM·점포 API(금융맵·금융대동여지도) 고도화를 통한 정보제공 확대 △편의점·백화점을 이용한 인출 △거스름돈 입금 서비스 활성화 △저축은행 간 창구 공유 추진 등을 명시했다. 디지털 금융에 익숙지 않은 소비자를 위해 오프라인 금융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특히 우체국에 대한 업무위탁 확대와 관련해 금융위는 은행연합회, 우체국, 4대 시중은행들과 함께 지난 3월께 업무 제휴를 위한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전국단위에서의 협력을 논의해왔다.
금융권 복수의 관계자들은 “은행들이 우체국을 통해 업무를 제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했다”면서 “큰 틀에서 협력을 하자는 이야기가 오고갔지만 세부적인 계획은 논의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
인수위의 발표에 대해 은행권은 긍정적이다.
A은행 관계자는 “지난 2019년부터 금융권을 중심으로 논의했던 사안”이라며 “그간의 동력이 약해 논의가 지지부진했다. 인수위가 적극적으로 나서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점포폐쇄와 맞물린 사안이다보니 지방 소도시의 고령자들의 금융 접근성을 높인다는 취지에서 긍정적”이라고 부연했다.
B은행 관계자는 “저희는 우체국을 통한 공동점포 논의와 관련해서 적극적으로 이야기했다”면서 “지역에 계신 고령자나 금융소외계층의 접근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은행들이 공동점포 협력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점포폐쇄와 맞물려 있다. 수익성이 떨어지는 곳의 점포를 폐쇄하자니, 해당 지역주민들의 금융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이다. 특히 디지털 비대면 금융 서비스의 확대로 은행권의 점포 폐쇄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실제 신한은행은 지난 14일 강남중앙(서울강남), 이매동(경기분당), 울산중앙(울산) 지점 등 총 20개 점포를 7월 18일에 통폐합한다고 밝혔다. KB국민은행도 7월 11일에 갤러리아팰리스(서울 송파), 독립문(서울 서대문), 석남동(인천) 등 21개 점포를 정리할 예정이다.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은 이미 상반기에 각각 48개와 38개 점포를 폐쇄했다. 하나, 우리, NH농협은행은 아직 하반기 점포 통폐합 계획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내부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은행들은 편의점, 슈퍼마켓과 손잡은 디지털 혁신점포(하나, 신한은행 등)나 타 은행과의 ‘점포 공유’(하나, 산업은행), 디지털 무인점포(우리은행) 등을 내놓고 있다. 혁신점포가 점포 폐쇄 공백을 일정 부분 메워주지만, 계좌개설과 대출상담 등에서 고령층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렵거나 실제 상담을 넘어 서비스 실행까지 이뤄지지 않는 등 보완할 점이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전국 3380곳의 창구를 둔 우체국은 매력적일 수밖에 없는 요소이다. 혁신점포 등과 비교해서 우체국은 창구에 직원이 상주해 있어 고령층 등을 상대로 금융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어서다.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우체국을 통해서 업무를 같이 보게 하는 부분과 관련해 금융위, 은행연, 4대 은행 등과 논의해왔다”면서 “금융망 연결 등 세부적인 부분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