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체계로 전환한 2월 3일 이후 67일 만에 동네 병·의원이 고위험군을 제외한 코로나 검사를 전담, 엔데믹(풍토병화) 전환을 위한 ‘포스트 오미크론’ 체계의 첫단추를 끼웠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정부는 오는 13일 일상회복지원위원회 서면회의를 거쳐 15일 개최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전면 폐지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
정부의 이번 조치는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을 지났고,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도 감소세로 접어들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1099명, 사망자는 258명 등으로 모두 전일 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백브리핑에서 “오늘 확진자 발생은 국내발생 기준 9만 907명으로 주말 검사량 감소 영향으로 요일 간 편차가 크다”면서도 “주간 평균은 오늘 기준 20만 3000여명으로 계속 줄고 있어 긍정적 현상”이라고 말했다. 이어 “위중증 환자는 1099명으로 3월 13일 최고치를 기록한 후 낮아지고 있다”며 “사망자도 요일별로 편차가 있어 주간 편차를 보면 359명(3월 20~26일)이 주간 평균 정점이었고, 현재 정점 구간을 지났다고 평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사망자 등이 모두 감소세로 전환됐다고 판단, 15일 중대본 회의에서 발표할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 체계에선 거리두기 폐지에 무게를 두고 있다. 또 코로나19를 현재 감염병 1급에서 2급으로 하향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이들 조치가 시행될 경우 실내 마스크 쓰기 외에는 모든 방역 조치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확진자 격리기간도 현재 7일에서 미국·영국 등과 같은 5일로 단축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또 감염병 2등급으로 하향되면 강제 격리 조치가 해제되거나, 매일 0시 기준으로 집계하고 있는 확진자 통계 등도 발표 주기 및 횟수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엔데믹 전환을 위해선 위중증과 사망을 방지할 충분한 치료제 확보와 진료시스템 마련이 선행돼야한다고 지적한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엔데믹 전환의 전제 조건은 독감처럼 누구나 치료제를 복용할 수 있고, 증상 시 격리가 아닌 진단·치료가 원스톱으로 이뤄져야한다”며 “격리가 아닌 진료체계를 준비해야하고 코로나 환자도 진단 이후 최소한 2주간 마스크 쓰기 및 다중시설 이용 자제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