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리퍼블릭 가맹점 사업을 10년간 해온 A씨는 임대료 감면 혜택을 돌려달라고 본사에 요청했다가 불이익을 당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서울지하철 2호선 사당·강남·선릉 3개 매장을 운영했지만 본사와 갈등을 빚다 지난 달부로 모든 점포와 재계약이 끝났다. 법원에 민사 소송을 냈지만 조정 절차만 진행되고 해결되는 것은 없는 상황이다.
A씨는 31일 기자와 통화에서 “2020년 12월경부터 임대료 지원금이 나와서 코로나19에 도움이 됐다”며 “하지만 4개월 정도 후에 본사가 아무런 통지없이 임대료 감면분을 가져갔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
네이처리퍼블릭 측은 “사실과 다른 내용을 A씨가 주장하고 있다”며 “현재 법적 대응 검토중인 사안이라 자세한 내용은 답변할 수 없다”고 밝혔다.
A씨 주장에 따르면 네이처리퍼블릭이 임대료 혜택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는 매장은 약 15개 수준이다. 즉 연간 기준 5억~10억원 수준의 임대료 부당 수익을 거둔 셈이다.
앞서 네이처리퍼블릭은 서울시 지하철 역내 매장에 진입하기 위해 공격적인 영업을 펼쳤다. 2012년에는 서울교통공사의 기존 입찰자인 에이블씨엔씨(미샤)가 계약을 포기하도록 서영필 에이블씨엔씨 창업주를 압박하는 해프닝도 벌어졌다. 결국 2015년 9월에 서울 지하철 1~4호선 내 68개 매장 운영권을 획득한 바 있다. 이후 현재까지 네이처리퍼블릭은 주요 역내 매장의 계약을 연장해가며 영업하고 있다.
지하철 내 매장은 대부분 중간관리 형태의 계약을 맺고 있다. 중간관리자는 가맹점과 달리 본사로부터 물건을 매입하지 않고 매출의 일정 부분을 수수료 수익으로 가져간다. 다만 A씨 등이 운영하는 15개 매장은 중간 관리자가 임대료를 내는 것으로 변경된 계약을 쓰고 있다.
네이처리퍼블릭은 서울교통공사 측에서도 해명을 받으면서 소상공인에게 임대료를 지급했다는 ‘지급확인서’를 부랴부랴 만들어서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확인서도 정식 절차를 거치지 않고 임시방편으로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네이처리퍼블릭 점주 B씨는 “회사에서 인감을 가져가서 지급확인서 같은 것에 임의로 서명했다”며 “회사에서는 그동안 못 준 임대료 혜택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중간관리 점주는 을이기 때문에 불이익을 받을까봐 제대로 말도 못한다”고 설명했다.
네이처리퍼블릭은 자연주의 콘셉트로 한 때 화장품 시장을 선도했지만 디지털 전환에 뒤쳐지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8년 629개에 달하던 매장도 현재는 절반밖에 남지 않았다.
화장품 업계 관계자는 “중저가 화장품의 전성기를 이끌어온 로드숍은 올리브영같은 H&B(헬스·뷰티) 스토어에 밀려 설 자리가 없다”며 “사업이 어려우니깐 임대료 문제 등 가맹점주와 갈등이 계속해서 터져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