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공공시설봉사·취약계층 지원 등을 수행하는 공익활동형의 경우 2017년부터 이달 8월까지 평균 급여는 월 27만원, 근무시간은 월 30시간으로 4년 간 동일했다.
소규모 매장 및 전문 직종 사업단에서 근무하는 시장형 일자리는 △2017년 월 26만 3000원·31시간 △2018년 30만 2000원·31시간 △2019년 31만 3000원·32시간 △올해 8월 30만 8000원·28시간 등으로 소폭 변화가 있었으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문화공연 활동과 학습지도 등을 하는 재능나눔활동형은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월 10만원·10시간 근무의 일자리로 채워졌다. 아동·청소년 및 가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는 월 60시간을 근무하고 71만 3000원을 지급했다.
노인일자리 사업은 해마다 예산과 참여 인원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이 의원실에 따르면 △2017년 49만 6200명(5231억원) △2018년 54만 3926명(6367억원) △2019년 68만 4177명(9227억원) △올해 8월 72만 3730명으로 참여자 수와 예산은 꾸준히 증가했다.
무엇보다 공익활동형이 가장 비중이 많은데, 2017년 35만 9932개에서 올해 8월 54만 4590개를 기록하면서 전체 일자리의 60~70% 비율을 차지했다. 올해는 정부가 1조 2000여억원을 투입해 74만개 일자리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어르신이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일자리·사회활동을 지원해 노인복지 향상에 기여하고자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주요 노인복지정책인 노인일자리사업 관리 등을 위탁받아 노인일자리 개발과 보급, 교육훈련 및 평가 등을 담당하는 전담기관이다.
이 의원은 “노인일자리 사업이 예산은 늘어나고 참여 인원도 증가하는 추세지만, 대부분이 최저임금 수준에 단기 아르바이트에 불과한 실정이다”며 “일자리 사업의 양적 성장도 중요하지만 질적인 향상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