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그린뉴딜’ 등에 업은 산업계…사업역량 강화 본격화

김정유 기자I 2020.07.14 15:00:36

태양광·풍력·수소·전력 등 그린뉴딜 관련 업계 ‘부상’
현대重 태양광 사업 확장, 한화도 한국형 제품군 강화
LS일렉트릭, ESS부터 태양광까지 스마트그리드 주목
코오롱인더·두산퓨얼셀 수소연료전지로 ''관심 집중''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문재인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 발표로 관련 산업계도 함께 부상하고 있다. 태양광을 주력으로 하는 한화솔루션(009830), 현대에너지솔루션(322000), 신성이엔지(011930)부터 수소 중심의 두산퓨얼셀(336260), 전력 분야에선 LS(006260)일렉트릭까지 그린뉴딜 정책 흐름에 따른 업체들의 사업역량 강화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14일 현대중공업그룹에 따르면 그룹 태양광 계열사인 현대에너지솔루션은 최근 충북 음성에 750MW 규모의 태양광 모듈 신공장 증설 공사를 완료하고 다음달 초부터 양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태양광 모듈 연간 생산능력을 기존 600MW보다 2배 이상 늘렸다. 이 회사는 최대 출력 450W, 변환효율 20.7% 수준의 고출력·고효율 모듈을 생산한다. 발전량을 추가로 늘릴 수 있는 양면형 태양광 모듈도 만들고 있다.

현대에너지솔루션은 한화솔루션과 함께 국내 대표 태양광 업체로 꼽힌다. 최근 그린뉴딜 수혜 업종으로 태양광이 지목되면서 외부 관심도도 높아졌다. 실제 지난 9일 최대주주인 한국조선해양(009540)은 이 회사의 지분 4.91%를 138억8750만원에 시간외매매로 매각했다. 현대에너지솔루션에 관심이 있던 외부 투자자에게 지분을 판 것으로 전해졌다. 그린뉴딜 정책에 대한 관심이 외부 투자까지 이어진 사례로 풀이된다.

▲현대에너지솔루션 태양광 스마트팩토리 내부 전경. (사진=현대에너지솔루션)
태양광 업계의 맏형격인 한화솔루션도 고효율 제품으로의 설비 전환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국내외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주력시장인 미국·유럽에 더해 그린뉴딜 정책이 시작되는 국내 시장에도 관심을 쏟고 있다. 그린뉴딜 정책을 통해 향후 국내에 투자가 확대될 수상·영농형 태양광 관련 특화 제품들을 적극 내세우고 있는 모습이다.

태양광 중견기업인 신성이엔지도 최근 신안에 건립될 ‘스마트팜앤쏠라시티’ 프로젝트에 96MW 규모의 태양광 모듈을 공급키로 하는 등 최근 국내 공급을 확대하며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지능형 스마트 그리드 구축과 관련해선 전력 전문업체 LS일렉트릭(옛 LS산전)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LS일렉트릭은 에너지저장장치(ESS), 태양광, 직류전력기기 등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고 있는 대표적인 업체다. 단일 제품군만 소화하는 게 아닌 전체를 연계시킨 종합 솔루션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노하우를 가진만큼 경쟁력이 높다는 평가다. 과거서부터 LS일렉트릭은 송변전과 배전 분야의 국내 대표 기업으로 손꼽혀 왔다.

수소경제 활성화 측면에선 발전용 수소연료전지를 생산하는 두산퓨얼셀이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열을 생산하는 친환경 미래 에너지원이다. 최근 이 회사는 주식시장에서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는 등 그린뉴딜 정책 발표를 앞두고 시장의 기대감을 한몸에 받아왔다. 발전용 수소연료전지는 정부가 추구하고 있는 분산형 전원의 최적 기술이다.

▲두산퓨얼셀의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사진=두산퓨얼셀)
코오롱인더(120110)스트리 역시 수소연료전지 핵심소재의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동시에 수소차뿐만 아니라 건물, 드론, 중장비, 기차, 선박 등으로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고삐를 죄고 있다.

두산중공업(034020)은 풍력발전사업에 힘을 실을 것으로 보인다. 최대 13개 권역에서 대규모 해상풍력발전 실증단지를 구축하겠다는 그린뉴딜 정책 방향에 맞춰 다양한 사업기회가 부여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회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5MW급 대형 풍력터빈을 보유한 업체다. 최근 경영정상화에 나서고 있는 두산중공업은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주력할 방침이어서 향후 정책 시너지가 어떻게 발현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신재생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기업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게 하는 장을 만들어주는 게 중요하다”며 “대부분 외국으로 쏠려 있는 신재생에너지 업계의 관심을 규제 철폐와 지원을 통해 내수로 연계시키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