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 “서울 강남권 재건축 탄력받을 것”
재건축 연한이 40년에서 30년으로 대폭 줄면서 1980년대 후반에서 90년대 초 준공된 서울 강남권과 노원구, 분당·일산·평촌 등 수도권 1기 신도시가 수혜지역으로 떠올랐다. 전문가들은 연한 단축에 대한 요구가 많았던 강남권의 경우에는 이번 조치로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성이 떨어지는 강북권과 수도권 1기 신도시는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지난 4월부터 허용된 수직증축 리모델링이 1기 신도시에서 위축될 가능성도 지적했다.
박합수 KB국민은행 부동산팀장은 “정부가 재건축 사업의 시간적 걸림돌을 제거해줬다는 점에서는 시장에 긍적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1980년대 중후반에 조성된 목동지구와 같은 곳은 연한 단축으로 사업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대표는 “앞서 7·24대책으로 총부채상환비율(DTI)과 주택담보인정비율(LTV) 등 대출 규제가 완화되면서 주택 매매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만큼 재건축 연한 단축 조치가 강남권에선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가능성이 크다”며 “하지만 강남권 쏠림 현상으로 인해 사업성이 충분치 않은 노원구 등 강북권이나 수도권은 오히려 소외될 수 있고, 수직증축 리모델링 사업은 반대로 위축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청약제도 개편에 대해서는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오히려 불리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남수 신한은행 부동산팀장은 “서울·수도권 분양시장의 경우 지금도 위례신도시 등 인기 지역은 청약 경쟁률이 높은데 1순위 기간을 줄이고 제도를 단순화시키면 투자자에게만 유리할 수 있다”며 “무주택자나 실수요자 입장에선 청약 경쟁이 더 치열해져 입지가 좋은 지역에 내 집 마련을 하기가 힘들어 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대책이 서울·수도권 분양시장에 초점이 맞춰진 단기 처방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9·1대책은 수요는 늘리고 공급은 죽여 주택시장을 살리겠다는 취지”라며 “분양시장과 매매시장의 수요 연결고리가 약해 단기 처방에 그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 중개업계 “재건축 기대감 강남보다 강북권이 더 높아”
현지 부동산 중개업계의 전망은 좀 다르다. 이번 대책으로 재건축 연한이 당겨진데 대해 강남권에 비해 강북권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쏟아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30년 가까이 된 중층 노후 대단지 아파트가 밀집한 노원구와 양천구 목동의 기대감이 높다.
노원구 상계동 안기훈 가자공인 대표는 “재건축 연한이 단축되면 12~15층짜리 중층 노후 단지가 몰린 노원구 지역은 25층까지만 올려도 사업성이 충분해 재건축 붐이 일어날 수 있다”며 “대출 규제 완화 이후 이미 급매물이 다 빠진 상황이라 이번 대책 시행이 침체된 시장의 돌파구 역할을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양천구 목동 김동주 파라곤메종공인 대표는 “목동은 이미 7·24대책 이후 집주인들이 호가를 2000만~3000만원 올리고 매물을 거둬들이고 있는 상황”이라며 “현재도 집값이 떨어지면 사겠다는 대기 수요가 많은만큼 이번 재건축 연한 단축 조치로 추석 이후 매매시장이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반면 강남권은 좀 더 지켜보자는 분위기다. 지구 전체가 미니신도시급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 강남구 압구정동의 신만호 골드웰공인 부장은 “1986~87년 준공된 미성2차나 현대13~14차 등은 이번 대책에 수혜를 입겠지만, 현 상황에서 당장 거래로 이어지긴 어렵고 집주인들이 호가를 올리면서 관망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1기 신도시에서는 재건축보다는 지난 4월부터 허용된 수직증축 리모델링 추진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 분당신도시 정자동 전창길 로얄공인 대표는 “재건축 연한이 10년 줄었다고 해도 안전진단 통과가 쉽지 않은 분당에선 별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본다”며 “준공 후 15년이 지나면 시행할 수 있는 수직증축 리모델링에 대한 관심이 더 많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