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진이 2009년 7월부터 작년 6월까지의 데이터를 사용해 추정한 결과, 노동시장의 ‘빡빡함’(tightness·수급불균형)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최근 들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시장의 수급불균형이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리는 압박은 2009년 이후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같은 상방 압력은 인플레이션 수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플레이션이 한은 목표 수준(2.0%)을 웃도는 시기에 이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노동시장 지표인 ‘빈일자리율’과 인플레이션 간 관계는 2009~2018년과 2019~2023년 대비됐다. 2009~2018년에는 두 변수 사이 상관관계가 음에 가까운데 반해, 이후 기간에는 강한 양의 관계로 전환됐다. 실제로 두 변수 간 상관계수는 2009~2018년과 2019~2023년 각각 -0.29, 0.74로 나타났다. 인플레이션이 낮을 때 노동시장 변수와 인플레이션 간 관계가 약화된다는 의미다. 2009~2018년의 평균 인플레이션은 1.89%인데 비해 2019~2023년에는 2.33%로 상승했다.
연구진은 인플레이션 수준이 높을 땐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해도 노동시장이 비교적 덜 식으면서 물가를 낮출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다고 분석했다.
채 과장은 “인플레이션이 높을 때 금리를 인상하면 경기가 위축되면서 노동 수요가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한 임금 하락으로 인플레이션이 하락하는 경로가 있다”며 “이는 비용으로도 볼 수 있는데, 인플레이션이 굉장히 높은 수준에서는 노동 수요가 조금 떨어져도 물가는 상대적으로 크게 하락하는 관계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통화정책을 고려하는 데 있어 여러 고려 사항이 있지만, 노동시장 상황과 인플레이션만 봤을 때 상대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높은 시기에는 중앙은행이 물가 안정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부연했다.
|
한편 이번 연구는 노동시장 지표로 실업률 대신 빈일자리율을 사용했다. 빈일자리율은 사업주 입장에서 현재 비어 있거나 1개월 안에 새로 채용할 수 있는 빈일자리를 전체 근로자 수와 빈일자리 수를 합한 값으로 나눈 것이다. 빈일자리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고용시장에서 실업률이 낮아진 것만큼 수급이 빡빡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럴 경우 임금 등을 통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더 크게 오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