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미접종자도 꽤 되고 코로나에 걸린 적도 없는 분들이 꽤 많은 국가이기 때문에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이 유행했을 때 미 접종자 중심의 확산, 그 다음 접종자 중 돌파감염 사례들이 같이 겹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제가 3개 그룹에서의 시뮬레이션 자료를 확인했는데 2월 중순 2만명 이상, 또한 최악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인 데는 2월 말 또는 3월 초에 9만명까지 확진자가 늘어날 수 있다 이렇게 예측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오미크론 확산에 대비한 맞춤형 대응 방식으로 검사방법 이원화와 코로나 진료 의료기관 확대 등이 논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미 확진자 규모가 적게는 2배, 많게는 4~5배 이상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보니 검사 자체에 대한 진단방법들을 유연하게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 약제 처방을 신속하게 하기 위해 의원이나 병원급 외래에서도 환자를 볼 수 있는 방법들이 추진되고 있다”며 “유관단체와 기관이 정부 차원에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들었다”고 했다.
이 교수는 “일단 동네 의원들이 공간이나 개인 보호구 착용 등 문제로 아직은 일부 전담클리닉에서만 코로나 환자를 치료하고 있는데 보호구 수준 정도도 간소화하고 외래 내 검체 채취, 진료, 처방까지 안전한 구조들을 만들어서 한 자리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특히 팍스로비드는 증상 발현 후 5일 이내에 투여가 돼야 하기 때문에 이런 시스템을 만들어야 제대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영국이나 프알스처럼 방역을 어느 정도 포기하면 영국(하루 확진자 22만명, 누적 사망자 15만명 등)이나 미국이 2년 동안 경험한 상황을 우리나라는 3~6개월 사이에 겪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