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가 공개되고 2개월 만에 월 사용자 1억명을 돌파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챗GPT를 활용한 ‘AI여행플래너 서비스’, ‘AI건강 챗봇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확산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몇 년 사이에 더욱 정교화, 고도화되고 있다. 보다 빠르게 우리 삶 전반으로 들어와 일하는 방식, 소통 방식, 삶의 방식 등 모든 분야에서 영향을 주고 있다.
그동안 디지털 혁신이 우리에게 편리함과 혜택을 줬지만, 거대 플랫폼 기업의 영향력 확대, 일자리에서의 인공지능과의 공존, 디지털 역량 격차 심화 등 새로 발생하는 이슈와 쟁점에 대한 정책 방향과 기준 정립이 필요하다는 요구도 계속 있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전 세계적인 디지털 혁신 과정이 인류 보편적 가치를 지향하면서 심화되도록 새로운 질서 정립이 필요하며, 우리나라가 선도적으로 모범적인 디지털 질서를 정립하고, 세계에 공유하겠다는 디지털 정책 구상(뉴욕구상)을 밝혔다.
이번 회의는 ‘뉴욕구상’에서 제시됐던 디지털 신질서 정립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것으로 민관이 모여 우리 사회가 함께 추구해 나가야 할 지향점과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논의했다.
협의체는 염재호 태재대 총장이 의장을 맡았고, 사회 각 분야의 대표성 있는 협단체·전문가 등으로 구성됐다. 협의체는 앞으로 사회적 논의를 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구심점 역할을 할 예정이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2차관은 “디지털 시대가 심화되는 과정에서 디지털 혁신의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파급력은 보다 확대될 것”이라며 “우리 사회가 지향하는 방향이 혁신의 혜택을 모든 사회 구성원이 공동으로 향유하고, 정부는 그러한 사회 기틀이 될 새로운 디지털 질서를 정립하기 위해 범국가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