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김 의원은 “자연재해 중 풍수해는 문화재 손실이 클 뿐 아니라 피해가 반복되고 관리를 잘못하면 해당 문화재가 소멸에 이르는 위험에 처할 수도 있다”면서 “기후위기에 대처하는 문화재 관리의 늑장 대응을 질타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해외 선진국의 경우 기후변화와 신종재난에 의한 옥외 문화재의 손상에 미리 대응을 하기 위해 △위험인자와 손상의 메커니즘 규명 △예측 및 모델링기술의 개발 △위험도 평가도구의 개발 △기후변화 및 재난대응 종합 시스템의 구축 등 단계별 접근과 연구를 이어가고 있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는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번에 집중적으로 문화재 재난 피해가 발생한 곳이 경상·제주 지역인데 이 지역은 문화유산 3차원 DB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던 곳”라며 “해당 사업을 좀 더 신속하게 완료했다면 재난에 대한 대비 시뮬레이션도 가능했고, 재난 사태 발생 후 문화재 복구 시 좀 더 원형에 가깝게 효율적으로 복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10년간 문화재 재난 현황을 보면 총 608건의 재난 중 85%에 해당하는 519건이 풍수해에 따른 피해였다. 김 의원은 “점차 자연재해의 강도가 높아져 문화재의 완전 파손이 매우 심각하게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재해 유형별 연구를 비롯해 대응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