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증시의 고공 행진이 이어지자 일각에서는 일본의 증시 상승을 이끈 주요 업종과 종목, 정부의 정책을 분석해 박스권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는 우리 증시가 갈 방향을 찾아야 한다는 제언도 제기된다.
22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닛케이지수는 3만9000선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일본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펴고 있는 반도체 업종의 랠리와 함께 기업가치 제고 등 증시 선진화 정책이 빛을 발하고 있다는 평가다.
증권가가 추천하고 ‘일학개미’들의 매수세가 이어지는 ETF 역시 이 같은 일본의 증시 선진화 정책이 반영된 업종에 집중돼 있다. 한국예탁결제원 세이브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투자자의 일본 주식 순매수 상위 5개 종목 중 4개 종목이 ETF이며, 대부분 엔저를 활용한 상품과 반도체, 배당 관련 상품으로 나타났다. 증권가에서도 일본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받는 반도체 ETF와 저PBR(주가순자산비율) ETF 등을 유망 업종에서 빼놓지 않고 있다.
김진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정부와 기업의 반도체 공급망 재편 및 자립을 향한 강력한 의지 속에서 경쟁력 있는 일본의 소재·부품·장비 업체들이 몸집을 키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며 “정부의 기업가치 제고 노력의 수혜 업종으로 꼽히고 있는 은행 등 금융, 자동차 및 해당 업종 비중이 높은 고배당·가치주 팩터 투자도 여전히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다.
일본은 기시다 내각에서 ‘새로운 자본주의’를 내걸고 PBR이 1배 이하로 저평가된 상장 기업들에 대해 개선안을 요구하는 등 보다 직접적인 증시 부양책을 내놓았지만, 거슬러 올라가면 아베 정부부터 주요 성장 전략의 하나로 ‘금융시장 글로벌화’를 제시하고 이를 구체화하는 작업이 시작됐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 2014년 금융시장 글로벌화를 위해 내놓은 ‘이토 보고서’부터 일본 정부의 증시 선진화 정책이 이어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상진 한국투자신탁운용 주식운용본부장은 “일본 정부가 주식시장을 살리기 위해 10여년간 정책을 이어가면서 자국 시장에 대한 비관주의가 강했던 일본 투자자들의 시각도 서서히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