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추 부총리와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19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미 재무장관회의에서 양국이 필요시 ‘유동성 공급장치’(liquidity facilities) 등 다양한 협력방안을 실행할 여력이 있다는 인식을 공유했다. 다만 한미 통화스와프 재개에 대한 공식적 언급은 없었다.
한 총리는 “당장 환율이 세계에서 문제를 일으킨 것도 아니고 우리 단기외채 관리에 있어 건전성 부분은 국제기구도 다 인정하고 있다”면서 “우리가 너무 스와프에 매달리는 건 전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위기상황이 되면 한미간 매커니즘을 가동할 수 있다 정도로 (협의)한 걸로 충분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날 “(5월) 한미정상회담과 재무장관회담에서 한국의 외환시장에 관해 긴밀히 협력하고 필요할 때 유동성 공급장치를 작동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는 정도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과거 정상회담때 ‘외환시장 안정’ 용어가 합의문에 들어간 적이 없지만 (이번에) 만들어냈고, 유동성 공급장치라는 용어도 저희들이 최초로 합의해 담았다”고 강조했다.
추 부총리는 ‘통화스와프가 일방적으로 통화당국에 맡겨 해결할 게 아니라 외교분야 등 감안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김경협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는 “늘 외교적, 경제협력적 부분에 대해 긴밀히 대화하고 있다”면서 “걱정하시는 부분에 대해 유사시 좋은 협력 대안들이 나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