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연구위원은 사상 최악의 폭염을 기록한 지난해에 이어 올해 폭염 역시 기승을 부릴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미국의 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지구 평균 기온이 역대 1~4위로 높을 확률은 보수적으로 봐도 95%다”고 전했다.
이어 오 연구위원은 “지난해 국내 대학 공동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온이 29.2도에서 30.2도로 1도 상승하면 사망위험은 15.9% 증가한다”며 “더욱 심각한 것은 세계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없는 대도시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오 연구위원은 폭염 극복을 위해선 민관 협치형 폭염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이에 대해 고령화 지역 등 폭염에 의한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지역 대상으로 지능형 기술 실증도시(Living Lab)를 선정하고 취약계층이 분포하는 공동체 시설에 PWS(휴대용 기상 측정기)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정토론자로 나선 정해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오는 2050년까지 기후변화로 인한 누적건강비용은 약 100조 원이 예상된다”며 “기후변화는 고령화의 문제와 겹쳐 우리가 치러야 하는 비용과 희생은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보다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수택 정의당 생태에너지본부 부본부장은 폭염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제언으로 △도시 열섬 현상 줄이는 도시 설계와 관리 △기존 건물 에너지 절약, 단열 개선 지원 △탁상공론 중지, 실질적 대안 모색을 제시했다.
채여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수요자 중심 맞춤형 폭염 대응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채 선임연구위원은 “폭염 영향은 기상·사회·경제·환경적 요인의 복합 함수로 기온과 바례하지 않는다”며 “폭염 특보를 지역, 연령, 소득, 직업, 공간 특성에 따른 온도 및 영향의 차이를 고려해 발령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