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양물량 감소는 비수도권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대전, 세종, 강원은 6월 말 현재까지 분양물량이 전혀 없으며 분양시장 침체가 장기화하고 있는 대구를 비롯해 울산과 충남에서도 분양물량이 전년 대비 90% 이상 감소했다.
건설사의 분양 실적 급감은 사업성 확보와 미분양 우려로 분양가격 산정 딜레마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분양가격을 낮게 책정하면 미분양 우려는 줄어들지만, 건설비용 상승으로 사업성 확보가 어렵다.
최근 건설 자잿값은 지속적으로 상승 중이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건설공사비지수는 올 들어 꾸준히 오름세다. 4월 기준 151.26(2015=100)으로 1년 전(145.85) 대비 크게 올랐다. 지난 1일부터 시멘트 업체 쌍용C&E와 성신양회가 톤당 시멘트 값을 14% 올리기로 하면서 건설사의 원가부담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재건축 단지는 조합과 시공사 간 공사비 인상 문제로 공사가 중단되는 등 분양 일정 자체가 아예 밀리기도 한다. 이 때문에 시공자 선정 과정에서도 조합이 공사비 인상 불가 등의 조건을 제시하면 시공사가 수주를 포기하고 있어 시공사 선정 시점부터 분양일정이 밀리기도 한다. 아파트 입주물량도 내년부터 감소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장기적인 주택 공급 기반인 주택인허가 실적도 올해 들어 과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올해 1~4월 인허가 실적은 월평균 3만 1000호로 최근 10년 대비 30% 이상 하락했다.
시장에선 주택시장 향방이 불투명한 상황이어서 앞으로 분양 지연 사태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한다. 한 중소건설사 관계자는 “현재 부동산 시장에서 분양시점 결정은 눈치 게임 복불복이다”며 “시장 분위기가 어떻게 작용할지 몰라 쉽사리 분양시기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공급부족에 따른 우려가 존재해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정종훈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연구원은 “주택 공급 부족은 주택시장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공급 부족의 해결을 위해서는 긴 시간이 필요해 미리 관리해야 한다”며 “예고된 규제 정상화와 함께 주택 경기 침체 지역에 대해서는 더욱 적극적인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