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달리 가격 논리에 충실한 미국 셰일업계 입장에서 이같은 움직임은 이례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셰일붐이 끝나는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됐다.
|
보고서를 쓴 황유선 책임연구원은 이같은 투자 부진에 대해 기업들의 주주 환원 정책, 바이든 해정부의 친환경 정책, 비용 증가 등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기업들은 벌어들인 수익을 재투자하기보다 자사주 매입, 배당 확대, 부채 상환 등에 활용했다. 펜데믹 이후 이탈한 투자자를 유인하기 위해 성장보다 수익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아울러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서며 강화된 친환경 정책, 금융계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중시 등이 셰일 기업들의 투자를 제약시켰다. 바이든 대통령은 캐나다 앨버타주와 미국 텍사스주를 이어주는 키스톤 송유관의 확장사업 승인을 철회했고, 연방정부 소유 토지에서의 신규 석유·가스 시추 제한 등 친환경 정책이 강하게 추진되면서 화석연료 산업 전반에 투자가 위축됐다. 또 주요 은행들은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탄소배출량이 많은 석유·가스 기업에 대한 신규 대출 중단, 금융배출량 축소 계획 등을 발표했다.
펜데믹 이후 공급망 차질과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따른 장비 가격, 임금 상승 등 제반 비용 증가도 투자 부진의 원인이 됐다. 댈러스·캔자스시티 연방은행의 작년 4분기 서베이에 따르면 에너지 기업들은 ‘비용 상승 및 공급망 병목현상’이 생산의 가장 큰 제약요인이라고 응답했다.
|
황유선 책임연구원은 “셰일오일은 생산감소 속도가 높아 생산량을 유지하거나 늘리기 위해선 꾸준한 시추 활동이 뒷받침돼야 하는 만큼, 투자 둔화가 지속될 경우 가파른 생산량 증가는 기대하기 어렵다”며 “미국의 생산확대 여력 제한은 중국의 원유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글로벌 원유수급을 압박해 국제유가 하방경직성 또는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황 연구원은 이어 “올해 세계 원유 수급은 일일 62만배럴 초과공급이 예상되는데, 이는 미국 공급이 95만배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전제”라면서 “미국 산유량 증가가 기대에 못미칠 경우 초과공급 규모가 줄어 수급이 빠듯해질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