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기부는 지난해 9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한미 스타트업 서밋’에서 2억1500만달러 규모의 한미 공동펀드 결성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 주체는 모태펀드를 운영하는 한국벤처투자와 △알피에스 벤처스 △밀레니엄 테크놀로지 밸류 파트너스 △어플라이드 벤처스 등 미국 VC 3곳이다.
이후 어플라이드 벤처스가 당초 예정보다 결성금액을 늘리면서 한미 공동펀드 조성 규모는 총 2억5500만달러로 증액됐다. VC별 결성금액은 △알피에스 벤처스 2500만달러 △밀레니엄 테크놀로지 밸류 파트너스 4000만달러 △어플라이드 벤처스 1억9000만달러 등이다.
각 VC는 펀드 결성 시점으로부터 5년간 국내외 벤처·스타트업에 해당 금액을 투자해야 하지만 지난 1년간 자금 집행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남은 4년간 국내 기업에 자금 집행이 원활히 이뤄질 지도 미지수다. 국내 기업 의무 투자 비율이 지나치게 낮아서다.
협약 당시 한국벤처투자는 VC별 펀드에 1000만달러씩 총 3000만달러를 모태펀드에서 출자했다. 각 VC는 한국벤처투자 출자액의 1배수인 1000만달러 이상을 의무적으로 한국 기업에 투자해야 한다. 전체 공동펀드 조성액 대비 의무 투자 비율은 약 12%에 불과하다.
중기부는 지난 6월에도 사우디아라비아와 1억6000만달러 규모의 공동펀드를 조성했다. 이 역시 한국벤처투자가 1000만달러를 출자했으며 한국 기업에 1000만달러 이상을 의무적으로 투자하도록 했다. 한국벤처투자가 출자한 금액만큼만 한국 기업에 투자하면 되는 셈이다.
김용민 의원은 “중기부가 글로벌 펀드 조성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지만 실상을 들여다 보면 지난 1년간 투자 실적이 전혀 없고 국내 기업 의무 투자 비율이 낮아 투자 효과가 나타날지 미지수”라며 “1배수인 의무 투자 비율을 처음부터 공개하지 않은 점도 의문스럽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한미 공동펀드에 참여한 VC들은 최근 1년간 자체 투자 실적이 아예 없거나 단 1건에 불과하다”며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을 위해서는 성과 부풀리기가 아닌 해외 VC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내실 있는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한미 공동펀드에 참여한 미국 VC들은 한국 기업에 대한 정보가 많지 않다 보니 투자처를 찾는 데 시간이 소요됐다”며 “벤처투자 시장 상황이 좋지 않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고 해명했다. 이어 “글로벌 펀드는 최소 출자(의무 투자) 금액을 설정하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많이 투자하는 편”이라며 “투자 기간이 4년 남은 만큼 우려할 만한 사항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