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트럼프 "반도체 관세 내주 발표"…中은 희토류로 압박

김윤지 기자I 2025.04.14 16:26:09

트럼프 행정부, 반도체 품목관세 적용 의지 강조
국가안보 직결에 美로 생산시설 복귀 목표
中 희토류 수출통제 맞불…장기화시 韓도 영향권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상호관세에서 제외된 반도체에 대한 품목관세를 다음주 발표한다고 밝혔다. 그는 아이폰과 같은 전자제품, 의약품 등에 대한 품목관세 역시 곧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9일 상호관세 90일 유예에 이어 지난 11일 전자제품 상호관세 면제 등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관세 정책을 전환했다는 평가가 나왔지만 광범위한 관세 정책 강행 의지를 재차 피력한 셈이다.

2019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진행된 한중 양자회담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AFP)
로이터통신·CNN 등에 따르면 그는 이날 대통령 전용기에서 기자들에게 “철강이나 알루미늄, 자동차처럼 반도체 관세가 머지않아 시행된다”면서 “다음주 관세율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부 기업에 대한 관세 면제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우리는 관련 기업들과도 대화할 것”이라면서 “어느 정도 유연성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 외에도 이날 트럼프 행정부 고위 당국자들은 반도체 등 전자제품이 상호관세 부과 제외 항목에 포함됐으나 국가안보와 직결된 만큼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를 거친 후 별도의 품목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시장에서 제기된 ‘전자제품 관세 면제설’을 진화하기 위한 것이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이날 ABC 방송과 인터뷰에서 반도체 등 전자제품 상호관세 면제는 일시적인 유예라면서 “한두 달 안에 부과될 수 있는 반도체 관세가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품목관세의 목적이 리쇼어링(미국으로의 생산시설 복귀)이라면서 “우리는 반도체가 필요하고 이는 미국에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세 정책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입장으로 미중 무역전쟁은 격화되는 모양새다. 145%라는 고율 관세 폭탄을 맞은 중국은 미국에 대한 125% 보복 관세와 첨단 기술 분야 핵심 광물인 희토류 수출 제한으로 대응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4일 자국에서 생산되는 중희토류 및 희토류 자석을 수출하려면 중국 정부의 특별 수출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조치를 발표했다. 2023년 기준 중국은 전 세계 중희토류 공급량의 99%를 생산한다.

이에 미국 산업계는 비상이 걸린 상황이라고 이날 뉴욕타임스(NYT)는 보도했다. 문제는 중국 세관 당국이 미국뿐만 아니라 일본과 독일을 포함한 모든 국가로의 중희토류 금속·자석 수출을 차단하고 있다는 점이다. 수출 통제가 장기화될 경우 한국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관세 전쟁

- 中 "美와 무역협상 가짜뉴스…대중 관세부터 해제하라" - 베트남산 스테인리스 냉간압연에 5년간 최대 18.81% 반덤핑관세 - 美, 4월 관세수입 한달새 60% 급증…트럼프 “관세 효과”(종합)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