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장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 기업은행장은 그간 관료 출신들이 자리를 맡아 왔다. 기업은행 경영 전반에 대한 감시 역할을 하는 상임감사 자리에 정재호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올랐을 정도다.
금융권도 관료 출신 인사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특히 행시 28회인 정은보 전 원장은 지난 8월까지 금감원을 이끌었다는 점에서 이름이 거론되는 것만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찬우 전 수석부원장, 도규상 전 부위원장도 각각 행시 31회, 34회로 기획재정부·금융위 출신의 유력 후보로 꼽힌다.
기업은행 노조는 여론전에 나섰다. 노조는 이날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낙하산 반대’ 기자회견을 열어 “기재부·금융위 출신의 올드보이들이 뭉쳐 정은보 전 원장을 밀고 있다는 설이 유력하다”며 “낙하산은 꿈도 꾸지 말라”고 했다. 조합원의 74%가 내부 출신 행장을 원한다는 자체 설문조사 결과도 발표했다. 노조는 “차기 은행장이 갖춰야 할 자질로 조합원들은 기업은행에 대한 전문성과 충성도를 꼽았다”고 했다.
내부 출신 인사가 발탁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는 관측도 있다. 기업은행은 윤 행장 직전까지 조준희·권선주·김도진 등 내부 출신의 행장을 세 차례 연속 배출했다. 최근 수협은행장에 내부 출신인 강신숙 행장이, 앞서 수출입은행장에도 윤희성 행장이 각각 임명된 분위기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이다.
기업은행 자회사 최고경영자(CEO) 인사는 행장 교체 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캐피탈, 투자증권, 신용정보, 연금보험, 시스템 등 CEO들의 임기 만료일은 최대 8개월이 지났지만 아직도 후임 인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들 자회사는 공공기관인 기업은행과 달리 민간 회사여서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거쳐 선임하지만, 기업은행이 최대주주여서 사실상 정부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윤 행장 차기 행보에 대한 얘기도 들린다. 내년 11월 임기가 끝나는 김광수 은행연합회장 후임으로 윤 행장이 유력 후보로 오를 것이란 관측이다. 그간 지주 회장이나 은행장을 거친 관료 출신이 은행연합회장에 오른 점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