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철 신한금융투자 한반도신경제팀장(이사)은 27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남북경제협력을 위기에 처해있는 한국경제의 해법이 될 것으로 봤다. 소 이사(사진)는 증권사 리서치센터 애널리스트 가운데 유일하게 북한경제학으로 박사과정을 밟은 사람이다. 자본시장의 최전선이라고도 할 수 있는 애널리스트가 사회주의 경제학을 배우겠다고 나선 까닭이 무엇일까.
소 이사는 중국의 추격으로 한국 경제를 떠받치던 정보기술(IT)·전자업계가 위기에 처해 있다고 보고, 남북경협이 그 해법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에서 삼성전자 스마트폰 점유율이 2013년 10.7%에서 올해 1.3%으로 급감했습니다. 중국 정부가 스마트폰 보조금 제도를 없애면서 부터입니다. LG디스플레이도 적자가 난 이유가 중국 정부의 막대한 자국 기업 지원 때문입니다. IT업계가 고사위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의 해법은 남북 경협에 있다고 보고 북한을 공부하기 시작한 겁니다.”
|
그가 북한 경제학을 전공하기 시작한 지난 2015년만 해도 지금처럼 평화 무드는 아니었다. 하지만 그는 확신이 있었다.
“당시 북한의 핵실험으로 남북관계가 경색된 상황이었어요. 한마디로 ‘어둠의 시대’였죠. 하지만 한국전쟁 당시 적국이었던 중국과 1992년부터 국교를 맺고, 월남전을 치른 베트남의 국내총생산(GDP)의 20~30%를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것을 생각하면 북한도 언젠간 열릴 것으로 봤죠.”
향후 북미 협상 과정에서 변동성이 크겠지만 북한과 미국이 평화 협정을 맺을 것이라는 게 소 이사의 전망이다. 첫 경협은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재개방, 그리고 남·북·러 가스관 사업과 시베리아 철도 사업 진행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가장 먼저 재개될 것으로 보이는 개성공단에서 성공 사례를 만들면 외국 투자자들도 북한을 믿게 될 겁니다. IT와 섬유기업 등이 먼저 성공적으로 개성공단에 안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이후에는 나진·선봉·신의주 지역 등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남북경협이 구체적으로 진행되면 국내 증시 상승을 가로막은 주범으로 꼽히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일정 부분 해소될 것으로 봤다. 하지만 기업의 지배구조와 의사결정 과정이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게 바뀌는 것도 필요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소 이사는 지금까지 총 3건의 남북경협 관련 보고서를 발표했다. 추후 북한의 IT와 에너지, 농업 등 개별 산업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