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경쟁사들과 유통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11월 1일 낮 12시부터 다음 날 오전까지 진행된 리베이트 경쟁을 주도했다. 11월 1일 낮 12시 30만~40만 원 대였던 리베이트를 60만 원 중후반으로 급상승시키자, KT와 SK텔레콤이 뒤쫓았고, 결국 이날 오후 6시께 최고 리베이트가 70만 원을 넘는 사태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아이폰6(16G)의 출고가가 78만 9800원이고, 공식 지원금이 최고가 요금제 기준 19~25만 원이었던 점에서 1일 오후부터 온라인 사이트를 시작으로 ‘아이폰6, 10만 원 대 판매’ 공지가 나오기 시작했다.
과도한 리베이트가 문제 되는 것은 모든 소비자가 혜택을 받는 지원금과 달리, 유통점에 미끼로 주어져 일부 소비자에만 ‘페이백’ 등 불법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KT관계자는 “1일 LG유플러스의 과다한 리베이트 영향으로 번호이동 시장을 싹쓸이 했다”고 비판했고, SK텔레콤 관계자도 “LG가 촉발한 것은 맞고, 어쩔수 없이 쫓아갔다”면서 “이용자 차별을 촉발한 사업자를 강도 높게 제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관계자는 “10월 31일에도 LG유플러스는 경쟁사들보다 리베이트를 10만 원 정도 더 썼고, 11월 1일 대란도 LG가 시작했다”면서 “채널을 분리해 스팟형으로 하다 보니 잘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LG유플러스는 주도 사업자는 KT라고 반박했다. LG유플러스는 10월 31일 18시 30분 경에 35만 원으로 KT가 먼저 리베이트를 올렸고, 자사도 쫓다가 11월 1일 오전 리베이트가 너무 높다고 판단해 오히려 28만 원으로 내렸다고 밝혔다. 11월 1일 역시 KT가 오후 2시 50만 원으로 올려서 쫓았고, 같은 날 6시 30분에 70만 원으로 올린 것도 KT라고 반박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번호이동이 늘어난 것은 아이폰 보상프로그램인 ‘제로클럽’에 90% 정도가 가입했기 때문”이라며 “촉발사업자는 KT”라고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 고위 관계자는 “이통3사가 유통점 리베이트를 통해 이용자 차별을 부추긴 행위는 영업정지나 과징금으로 갈음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해, 마케팅 임원 형사고발 의지를 재확인했다.
|
이동통신3사가 아이폰6에 대한 장려금(리베이트)을 지난 2일 오후 2시를 전후로 30만 원 선(절반)으로 줄이면서, 일선 유통점에서는 찾아온 고객을 되돌려 보내거나 신청서를 찢는 등 소동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어제 오후부터 아이폰6 예약가입 신청서를 쓰고 단말기를 받으려고 매장을 방문한 고객에게 취소를 독려한다”면서 “불과 몇 시간 전까지만 해도 10만 원, 20만 원 주고 사던 제품을 갑자기 50만 원 이상으로 사라는 게 말이 안 돼 곳곳에서 다툼과 실랑이가 있었다”고 전했다.
휴대폰 오픈마켓을 운영하는 착한텔레콤 박종일 사장은 “대안은 이통사들이 공식 지원금을 늘리는 것”이라면서 “특히 월 9만 원, 12만 원 하는 요금제가 아니라, 사람들이 많이 쓰는 5만 원, 6만 원 대 요금제에서 공식 지원금을 늘려야 한다. 그래야 단통법의 취지인 이용자 차별 해소가 가능하다. 통신사들은 보조금을 늘릴 여력이 있어 보인다”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