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수년간 적자를 이어온 대우조선해양의 부채를 줄이기 위한 경영 정상화 방안을 수립해야 하고 올해 여름 ‘51일간의 하청 노동자 파업’에서 드러난 취약한 임금구조 개선도 새로운 주인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히고 있다.
|
금속노조는 한화그룹에 “조선산업을 단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기업이 조선소를 잘 운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우려부터 씻어야 한다”며 “총 고용을 지키고 지역경제를 발전시겠다는 약속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만 “한화쪽에서 요청이 나오면 충분히 대화할 용의가 있다”며 한화 측과의 대화 여지를 남겨뒀다.
앞서 한화그룹은 지난 2008년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뛰어들었을 때도 이를 반대하는 노조와 합의점을 찾지 못해 계약 전 실사조차 하지 못했던 경험이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한편에선 매각때마다 불거지는 노조의 반발을 놓고 실력행사 위해 엇깃장 놓는 거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면서도 “다만 실제로 배를 만드는 주역인 노동자인 만큼 이들을 대변하는 노조의 목소리에도 경청하고 합의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화그룹이 대우조선해양을 품기까지 국내뿐 아니라 유럽 등 전 세계 경쟁 당국으로부터 기업결합 심사 승인을 받기 위한 사전 작업도 급선무다. 앞서 지난 2019년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추진하다가 유럽연합(EU)의 ‘독과점 우려에 따른 반대’로 포기했던 현대중공업도 결과적으로 인수 기간에만 3년이나 넘는 시간을 허비했기 때문이다. 조선사 수주는 국내에서 이뤄지는 것이 아닌 해외 계약이기 때문에 해외 관련 당국의 허가를 득해야만 합병을 할 수 있다.
‘부실의 늪’에 빠진 대우조선해양을 어떻게 정상화할지도 새주인에게 남겨진 큰 과제다. 올해 상반기 기준 대우조선해양의 매출은 2조 4295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1% 성장했다. 하지만 영업적자는 5696억원을 기록했으며 부채비율은 676%에 달한다. 이자 등 금융 비용만 9167억 원에 이른다. 최근 조선업계는 ‘슈퍼사이클’(초호황기)에 접어드는 분위기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수주 랠리가 계속되고 있지만 당장에 흑자전환은 어려운 상태다.
조선사들은 주로 헤비테일 계약(선수금을 적게 받고 인도 대금을 많이 받는 형태의 계약)을 맺어 수주가 실적에 반영되기까진 1~2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산업은행도 이를 공감하고 경영권이 넘어가더라도 선수금환급보증(RG) 등 기존 금융 지원 방안을 5년간 연장하기로 했지만 추가로 자금을 투입해야 할 상황은 얼마든지 올 수 있다. 동시에 국내 조선업계에 고질적 관행으로 쌓여온 ‘다단계 하도급’에 따른 취약한 임금 문제도 풀어야 할 숙제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