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소특구는 대학,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기술핵심기관 중심의 공공기술 사업화 거점을 지향하는 연구개발특구 모델로, 선정된 지역은 기술사업화 자금, 인프라, 세제혜택, 규제특례 등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정 요청서 접수 이후 8개월의 강소특구 전문가위원회 심사를 거쳐 전국 6개 시·도의 지역별 육성계획 최종안을 확정하고, 최종안 발표회를 통해 마지막 심사에 돌입한다고 22일 밝혔다.
|
과기부는 강소특구 지정 심사를 위한 전문가위원회를 운영해 연구개발 역량, 성장 가능성, 공간계획, 창업보육 지원 등에 대한 타당성과 강소특구별 육성계획을 검토해 왔다.
지역별로는 울산 울주가 울산과학기술원과 반천일반산단을 중심으로 ‘미래형 전지’를 특화분야로 대기업과 민간 투자 플랫폼 연계 통한 ‘C-Innostry(Cell-Innovation Industry) 클러스터 조성’을 내세웠다. 충남 천안·아산은 한국자동차연구원과 풍세일반산단을 중심으로 국내 유일 자동차 전문생산기술연구소의 특화된 기술과 사업화 노하우를 이용한 ‘차세대 자동차 부품’ 혁신클러스터 구축을 강조했다.
전북 군산은 군산대학교와 새만금산단을 중심으로 ‘친환경 전기차 부품소재’ 분야를, 경북 구미는 금오공대와 구미하이테크밸리를 중심으로 ‘스마트 제조 시스템’ 분야 육성 의지를 피력했다. 서울 홍릉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고려대학교, 경희대학교와 서울바이오허브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헬스케어’ 메디클러스터 조성을, 전남 나주는 한국전력공사와 나주혁신산단을 중심으로 ‘지능형 태양광·에너지저장’ 중심의 국내 최초 공기업 주도 지역혁신 생태계 조성을 각각 내세웠다.
과기부 관계자는 “23일 전문가 위원회 최종 발표 평가를 거쳐 다음 달 중 개최될 연구개발특구위원회에서 강소특구 최종안에 대한 심의·의결해 강소특구 지정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