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25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국제정세 변동과 한반도 안보환경 그리고 항공·우주산업의 미래’ 세미나에서 국내 뉴 스페이스 생태계 조성과 상업화 육성방안에 대해 강조했다. 이 세미나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후원하고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가 주최했다.
올드 스페이스는 정부 투자에 의한 정부 주도의 전통적 우주개발을 의미한다면, 뉴 스페이스는 민간기업이 주도하는 우주개발을 말한다. 최근 미국·중국·유럽·일본 등에선 뉴 스페이스 스타트업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지만, 국내 우주산업은 여전히 정부 주도로 이뤄지고 있다.
실제로 뉴스페이스 선도국의 우주비즈니스 모델은 다양한 유형으로 확장되고 있다. 스페이스X, 아마존, 원앱, 등 다수의 우주 스타트업 기업들이 우주인터넷을 포함하는 저궤도 광대역 초대형 군집위성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버진 갤럭틱, 블루 오리진 등은 준궤도 우주여행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고, 20여개 이상의 스타트업 기업들이 상업용 달탐사 및 소행성탐사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장 교수는 “과기부, 항우연(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도하는 R&D 프레임의 올드 스페이스를 통한 우주 산업화는 오래 전부터 한계에 직면하고 있었다”며 “부실한 올드 스페이스 산업화는 우주산업체의 기반 기술 및 혁신 역량의 부재로 연계돼 뉴 스페이스 생태계 조성, 발전에도 역행이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과기부 주도 R&D 프레임의 우주개발을 지양하고 뉴 스페이스 산업을 육성하고 단일 부처에 경도되지 않은 뉴 스페이스 우주정책 및 전략 입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존 국책연구기관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고 뉴 스페이스 산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장 교수는 “국가우주활동을 총괄하는 범부처 차원의 컨트롤타워인 대통령 산하의 상설기관인 ‘국가우주청’ 설치가 요구된다”며 “뉴 스페이스 활성화를 위해 △민간 주도 및 정부 투자 방식의 사업(PPP) 추진 △우주비즈니스 인큐베이션 센터 설치 △코리아 스페이스 펀드 조성 등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