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기자회견에 한국과 러시아 외교 관계가 언급되면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 대통령은 12일 신년 구상을 밝히는 기자회견에서 “한·러 관계의 안정적 발전을 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박 대통령이 평화통일의 기본 토대로 ‘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나온 이야기다. 박 대통령은 미국과 중국, 일본 등에 이어 러시아와의 관계를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정부는 한미동맹을 굳건히 유지하면서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내실화하고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는 일본과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면서 한·러 관계의 안정적 발전을 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이들 4개국이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자회담의 당사국이라는 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실제로 박 대통령은 “(4개국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북한 비핵화와 남북관계 개선의 선순환을 도모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러시아에 대한 언급의 경우 단순히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서만은 아닌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남북 관계에 있어 러시아의 영향력이 커지고 때문이다. 북한은 전통적인 ‘혈맹’이었던 중국과는 다소 거리를 두는 반면에 러시아와는 급격히 가까워지고 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일 북한이 각국에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에게 연하장을 보냈다고 보도하면서 예년과 달리 중국을 러시아보다 후순위로 호명했다. 이는 과거 북한이 외국 국가수반이 김정일·김정은에게 연하장을 보냈다는 소식을 전할 때 중국·쿠바·러시아 순으로 호명한 것을 고려했을 때 이례적인 일이었다.
일각에서는 2013년 12월 장성택 처형을 기점으로 더욱 소원해진 북중 관계와 최근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북·러 관계를 반영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올해는 러시아와 남북한 사이 교류와 외교전이 모두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러시아를 사이에 두고 남북 대화와 경제협력 등이 활기를 띌 가능성도 높다.
러시아는 오는 5월 개최할 2차대전 승전 70주년 기념행사에도 미국 등 주요국 정상들과 함께 남북한 지도자를 동시에 초청했다. 이에 따라 모스크바에서 공식이든 비공식이든 남북, 북미 간 정상회담이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의미가 있고 더 앞으로 나아가는 정상회담이 되어야한다”며 “그렇기 위해선 일본 측의 자세 전환, 변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위안부 피해자 보상과 사과와 같은 양국 간 역사문제에 대한 합의 없이는 정상회담이 무의미하다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