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사랑도 여행도 경기도’는 한 여성의 유년기부터 노년까지, 인생의 순간마다 경기도가 함께했던 추억을 담아 낸 감성 영상으로, 빠른 전개와 AI 기반의 고화질 이미지로 몰입감을 높였다. 영상은 경기관광 유튜브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공사는 이번 AI 활용 영상 제작을 통해 비용·시간·저작권·관리 면에서 혁신적 개선을 이뤄냈다. 기존 홍보 영상 제작을 위해서는 외주 업체를 통한 계약이 필요해 행정절차에 따른 예산, 촬영 시간, 모델 저작권 등 제약이 있는 반면 AI 영상제작은 최소한의 비용과 시간으로 효율적 제작, 관리가 가능하다.
또 AI 상업용 라이선스를 활용한 저작권 확보, 콘텐츠 재사용 및 확산 관리의 용이성 등 실질적 혁신 효과도 얻었다. 공사는 이번 영상 기획, 제작, 편집 모두 약 7일이 걸렸고 예산은 AI 월 구독료만 사용했다고 밝혔다.
영상을 기획·제작 한 공사 홍보마케팅팀 관계자는 “AI는 미래가 아닌 현재”라며 “기존 촬영에만 수개월이 걸리고 예산이 수천만 원 필요하던 방식을 과감히 벗어나, 새로운 AI라는 수단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공사는 이러한 방식을 공사 전 직원이 함께 체득할 수 있도록 실무 교육도 병행했다. 16일 오전에는 홍보제작 담당자가 직접 공사 직원을 대상으로 ‘AI 콘텐츠 제작 실무 노하우 교육’을 진행, 직원들의 AI 활용도와 관심도를 높였다.
조원용 경기관광공사 사장은 “AI 활용의 정도가 곧 업무 효율을 결정하는 시대”라며 “공사는 앞으로 단순 AI 도입을 넘어 홍보, 상품 기획, 고객 응대 등 다양한 부문에 AI를 활용, 업무 효율성을 높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관광공사는 지난해부터 경기관광플랫폼(누리집)에 챗GPT 기반의 ‘AI 챗봇 서비스’를 도입, 고객이 보다 효율적으로 관광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