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후 2시(현지시간)까지 중국 당국은 우크라이나에 있는 자국민에 대해 철수 명령 등을 내리지 않았다. 지난 11일 주우크라이나 중국대사관은 공지를 통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직면한 긴장 관계 형세가 다방면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각종 설이 나돌지만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면서 “우크라이나의 정세 변화를 세심하게 주시하면서 대비 의식을 강화해야 한다”고만 경고했다.
|
한 베이징 소식통은 “중국은 우크라이나 사태를 두고 다양한 감정이 들 것”이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때도 러시아가 그루지야(조지아)를 침공했고, 이번 올림픽에 대한 관심이 분산되고 있어 불편한 속내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중국이 러시아 편만 들기에는 우크라이나와도 관계가 좋다”며 “미중 관계에 있어서도 현 상황이 미국의 관심을 분산시키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겠지만, 과도해지면 중국에도 좋은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올림픽 기간 전쟁이 발생한다면 주최국인 중국에는 큰 타격이다. 앞서 미 블룸버그통신은 지난달 22일(현지시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2022 베이징 올림픽 기간에는 우크라이나 침공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익명의 외교관 발언을 인용해 보도하기도 했다.
시 주석이 중국의 성장을 전 세계에 과시하겠다며 2022 베이징 올림픽의 성공에 사활을 걸고 있는 만큼 평소 친분이 두터운 푸틴 대통령에게 이런 부탁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중국과 러시아 정부는 모두 이를 부인했으나 과거 러시아가 올림픽을 전후해 전쟁을 일으킨 이력이 있는 만큼 불가능한 시나리오는 아니라는 평가가 나온다. 러시아는 2008년에는 베이징올림픽 개막일에 그루지야와 전쟁을 시작했고, 2014년 소치올림픽 폐막 직후에는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강제 병합을 위한 작전에 돌입했다.
이를 의식해서인지 지난 4일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은해 “올림픽의 정신인 평화의 기치 하에 저는 전 세계 모든 정치 권력에 호소한다”며 “올림픽 휴전 약속을 지켜달라. 평화에게 기회를 주자”고 말했다.
베이징 동계올림픽·패럴림픽 기간을 포함하는 1월 28일부터 3월 20일까지 전쟁을 중단하자는 내용의 유엔 총회 결의를 상기한 것이다. ‘우크라이나 사태’ 속에 푸틴 대통령이 바흐 위원장 발언 순간 자리를 지키고 있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
우리 정부는 한국시간 13일 오전 0시(우크라이나 현지시간 12일 오후 5시)부터 우크라이나 전역에 최고 단계 여행경보에 해당하는 ‘여행금지’를 긴급 발령했다. 여행금지 조치에도 현지에 남아있으면 여권법 등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현재 우리 국민 281명이 우크라이나에 체류 중이며 15일까지 약 100여 명이 추가로 철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