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 농어촌 5G망 공동으로 쓴다…28㎓는 쉽지 않아

김현아 기자I 2021.04.15 19:04:58

최기영 장관, 3사 CEO 만나 시골 5G 구축 앞당기자
2024년 상반기까지 농어촌 5G 완료
정부는 28㎓ 공동이용도 기대..통신사 난색
경계지역 품질 해결어렵고 기업용도 쉽지 않아

[이데일리 김현아 노재웅 기자]
[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통신3사가 인구 밀도가 낮은 읍·면 지역의 5G 통신망 구축에 속도를 내기 위해 망 공동 이용 협약을 맺었다. 이리되면 한 통신사가 망을 구축한 산골 지역에서 다른 두 통신사 가입자들도 5G를 쓸 수 있게 된다.

통신 3사가 망 공동이용에 합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도서·산간 지역까지 5G망 구축을 앞당겨 도·농간 5G 격차를 없애자는 취지다. 구현모 KT 대표이사가 아이디어를 냈다.

이번 농어촌 5G 통신망 공동이용은 주력망인 3.5㎓ 대역에서 이뤄진다. 정부는 28㎓ 대역에서도 공동이용을 생각하고 있지만, 통신사들은 기술적인 문제와 비즈니스 모델 부재로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농어촌 5G 공동이용 계획 발표가 15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렸다. 통신3사 CEO가 서명하고 있다. 뉴스1제공


3.5㎓ 농어촌 5G망, 2024년 상반기까지 깐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농어촌 5G 공동이용 계획 발표’ 간담회에서 “오늘 마련한 농어촌 5G 공동이용은 국내 통신3사 간 바람직한 협력 사례가 될 것이다. 디지털 포용 사회의 초석을 놓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부와 통신사들은 2022년 말까지 85개 시의 읍·면까지 5G 전국망을 구축하기로 했는데, 사람이 별로 살지 않는 외곽지역 5G 공동망 구축까지 조기에 이뤄지기 때문이다.

간담회 분위기는 화기애애했다고 한다. 세계 최초 상용화의 그늘로 초기 품질 불안 문제가 발생해 5G에 대한 여론이 아직은 좋지 않은 가운데, 서로 격려했다고 한다. 최 장관은 “5G 상용화 이후 2년이 지났다.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쳐 글로벌 5G 융합생태계를 선도할 수 있도록 더 노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5G 공동망은 처음 이어서 별도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자칫 A통신사가 망을 구축한 지역에서 B 통신사 구축 지역으로 넘어갈 때 끊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3사는 이에 따라 올해 3분기까지 거점연동을 위한 기지국 IP 재설정,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장비 설계와 함께 공동망 관리시스템을 개발해 장애 예방에 나서기로 했다. 4분기부터 공동 이용이 시작돼 2024년 상반기까지 완료된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3사의 농어촌 5G망 공동이용에는 ‘공통 품질 기준’이 적용돼 LG유플러스가 요구했던 주파수 추가 할당은 하지 않기로 했다. 3.5㎓ 대역에서 경쟁사들보다 주파수 량이 20MHz폭 적은 LG유플은 공동망 이용 시 동일 품질이 필요하다며 추가 할당을 요청한 바 있다. 또한, 기지국만 공동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코어망까지 공동이용하게 되면 통신3사 부가서비스 사이에 차별성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통신사 상호협력을 위한 협약체결식’에 참석해 발표를 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정부는 기대하지만… 통신사들, 28㎓ 공동이용은 난색

최 장관은 간담회에 앞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올해 통신3사가 5G망 공동 이용을 많이 진행하게 될 것이라고 시사했다. 그는 5G 28㎓ 대역 기지국 의무 구축도 공동 구축을 생각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게 하고 있다”며 “올해 통신3사가 공동구축 많이 할 것이다. (그러면) 크게 어렵지 않게 1만 5000대 목표 달성에 가까워질 수 있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농어촌 지역의 3.5㎓ 대역이든, 28㎓ 대역이든 정확한 표현은 통신3사의 망 공동이용이다. 특정 지역에 A통신사가 깐 망에 B,C 통신사 가입자들도 쓸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엄밀히 말해 특정지역에 A, B, C 통신사가 공동으로 망을 구축하는 것과 다르다.

왜 통신사들은 3.5㎓ 대역의 농어촌 5G와 달리, 28㎓ 대역에서는 공동이용에 대해 현실성이 적다고 보는 걸까. 한 통신사 임원은 “3.5㎓에서도 경계지역에서 끊김 없이 서비스하는 게 화두인데 전파 도달거리가 짧은 28㎓는 어떻게 가능하겠냐”라면서 “서울 광화문 특정 지점에 깔았을 때 주위의 모든 곳이 경계지역일 텐데 이를 기술적으로 감당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통신품질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가 매우 높은 상황에서 28㎓에서의 공동이용은 경계지역에서의 품질 불안 문제를 해결하기 더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망 공동이용 시 초저지연이 필요한 스마트공장 등 기업용서비스(B2B)에 적합한 28㎓ 대역의 주파수 특성을 활용하기도 어렵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충청 지역 A공장 스마트팩토리를 누가 수주하든 다른 통신사 망을 활용해야 한다는 이야기인데, 불가능한 얘기라는 것이다. 과기정통부도 28㎓ 공동이용이 이뤄지려면 B2B에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인정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장관님 말씀은 B2C에서 공동이용하자는 것”이라며 “아직 구체적인 방안이 확정된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