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문재인 정부에서 일하기 직전까지 아주대학교 총장으로 2년 4개월께 일한 경력이 있다. 그는 “대학에 있으며 학생들과 소통을 많이 했는데, 찢어지게 가난한 어린 시절을 보낸 나보다 현재 청년 세대가 훨씬 어려워 보인다”며 “청년 문제를 해결하려면 대한민국 개혁의 큰 흐름을 봐야지 그렇지 않으면 문제를 왜곡하는 행동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가 선진국의 현재라는 추격 경제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을 기초로 스타트업 기업을 양성해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면서 “이후 규제 개혁을 통해 일자리 생태계를 바꾸면 많은 직업들이 분야 간 통섭을 통해 새로 만들어질 것이다. 창업이 아닌 창직을 장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교육 정책에 대해선 수능 자격시험제 전환, 국공립대 일부 추첨제 시행, 사립대 선발 자율화, ‘갭이어’ 제도 이식 등의 다양한 대안을 제시했다. 그는 “수능 위주 정시든 내신 위주든 전부 지금 시스템에서는 문제 제기가 생길 수밖에 없다 보니 단순화된 방법을 찾는 취지에서 만든 공약”이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대학 진학률이 낮아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대신 어느 나이든 필요할 때 대학에 가도록 하는 일종의 평생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김 전 부총리는 기후 변화 위기, 실용 외교 방안, 기본권 개헌 등 다양한 현안에 관한 대학생들의 질문을 직접 받고 답변했다. 특히 재정 정책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당선되면 50조원을 써서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을 지원하겠다고 하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재난지원금으로 모두 100만원을 주겠다고 했는데, 이는 그 돈으로 만들 수 있는 경제의 역동성을 모두 포기하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정치대기업인 거대 양당이 상품을 만들어왔고 국민이 그에 만족하지 않는데도 새 기업이 나올 수 없게 진입 장벽을 높게 치고 있다”면서 “우리는 새로운 인물과 정책으로 창업한 스타트업이다. 청년들도 같이 아래로부터의 반란에 동참해달라”며 지지를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