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00조원이 넘는 자금을 굴리는 국민연금의 책임투자가 꾸준히 강화되면서 시장에서도 ESG 투자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데일리의 32회 SRE에서도 시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채권 투자에 ESG 요소를 고려 중이느냐’는 질문과 ‘ESG를 고려할 계획이 있다’는 질문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이 높아졌다.
국민연금의 ESG 투자 강화 역시 전방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지난 2015년 말 마련했던 ESG 평가체계를 개편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동섭 실장은 “전 세계적으로 ESG 지표가 300개 이상이 있는데 국민연금이 나름대로 분석해 회사 펀더멘탈이나 주가, 실적 등과 연계되는 지표를 추려내 압축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국민연금의 ESG 체계 개선은 기후변화와 산업안전 강화에 방점이 찍혀 있다. 기존의 평가체계가 ESG 가운데 지배구조(G)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면, 이를 환경(E) 요소인 기후변화, 사회(S) 요소인 산업안전으로 넓혀가는 것이다.
이 실장은 “기업과의 대화 주제를 기후변화나 산업안전 쪽으로 넓히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국민연금은 ‘한번 사면 잘 안 파는’ 장기투자자기 때문에 기업과의 대화에서 제안한 내용이 바로 받아들여지지 않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될 때까지 계속 대화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국민연금은 올해 5월 기금운용위원회 차원에서 석탄채굴·발전산업에 대한 투자제한전략(Negative Screening) 도입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석탄발전소 신규 건설을 위한 국민연금의 프로젝트 투자는 즉시 중단됐다. 이 실장은 “이미 가지고 있는 주식, 채권, 대체투자 자산에 대해서는 연구용역을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전략을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SRE 조사에서는 ESG 투자를 고려하는 이유로 ‘연기금 등 글로벌 자금유입이 전망되기 때문’을 꼽은 전문가가 전체의 절반(46.8%)에 달했다. 지난해 조사(36.4%)보다 10%포인트 넘게 증가한 수치다. 연기금 가운데서도 손꼽히는 규모를 자랑하는 국민연금의 ESG 투자 확대에 이목이 쏠리는 이유다.
이 실장은 “국민연금이 책임투자와 수탁자책임활동을 하는 목적은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수익을 증대하기 위함”이라며 “위탁운용사에 책임투자와 모니터링 강화를 요구하고 거래 증권사에 ESG 요소를 포함한 기업분석보고서를 내달라고 요구하는 등 자본시장에 ESG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