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방목·무항생제 등 프리미엄 닭고기
브라질·태국·미국산 대비 가격 높을 전망
국내산 점유율 80% 이상..수입산 비중↑
국내 업계 "가격 대신 품질 경쟁력으로 승부"
[이데일리 백주아 기자] 핀란드 친환경 닭고기 ‘노포(NOPO)’가 한국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국내 시장에서 가격으로 승부하는 수입산 닭고기와 다르게 프리미엄 제품으로 승부한다는 전략이다. 친환경·동물복지 식재료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국내 닭고기 공급 업체와의 품질 경쟁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 ▲7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핀란드산 친환경 닭고기 ‘NOPO’ 국내 론칭 기자간담회에서 환영사를 진행하고 있는 야나 후수-칼리오 핀란드 농림부 사무 차관. (사진=주한핀란드무역대표부) |
|
핀란드 친환경 닭고기 노포는 7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서울에서 주한핀란드무역대표부 주관 하에 출시 행사를 열었다. 노포는 정부로부터 8년 만에 정식 수입 허가를 받아 국내에 진출했다.
노포는 ‘문제 없음(No Problem)’과 ‘핀란드에서 온 북유럽 가금류(Nordic Poultry from Finland)에서 철자와 의미를 가져와 탄생한 핀란드 프리미엄 닭고기다. ‘최적의 환경을 제공해 최상의 결과를 내놓는다’는 원칙 아래 깨끗한 물·공기·토양에서 닭을 자연 방목하고 성장촉진제 사용 없이 유럽연합(EU)이 인정한 무항생제 사료(오트밀 등)로 사육한다. 국가 차원의 사육 인프라 조성과 수시 방역을 통해 살모넬라균 확산을 최소화해 2020년 기준 0.025%의 매우 낮은 살모넬라균 감염증 발생률을 기록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핀란드는 식품 안전성과 원산지 추적 등에서 까다로운 기준을 두고 있다. 야나 후수 칼리오 핀란드 농림부 사무 차관은 “글로벌 시장에서 핀란드는 식품안전, 동물건강, 동물 복지에 있어 가장 선도적인 국가로 손꼽힌다”며 “수십년간 살모넬라 리스크 감소를 위해 노력해왔고 지난 10년간 항생제 사용이 전혀 없었다고 자신있게 말씀드릴 수 있다”고 말했다.
| ▲7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핀란드산 친환경 닭고기 ‘NOPO’ 국내 론칭 기자간담회에서 세포 펠리카 아트리아 수출 매니저가 설명하고 있다. (사진=백주아 기자) |
|
제품 수출은 핀란드 식품 기업 아트리아(Atria Oyj)와 에이치케이스캔(HKScan)이 담당한다. 120년 역사의 아트리아는 핀란드 농장주가 1903년 설립한 협동조합으로 현대식 도축 시설과 태양열 발전 시스템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에이치케이스캔은 1913년부터 핀란드 남서부 청정 지역에서 기른 가축으로 육가공 제품을 시장에 공급 중이다.
노포는 ‘품질’로 국내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높은 가격 경쟁력으로 국내 시장에 진출한 브라질, 태국, 미국 등 수입국과는 다른 전략이다. 기업 간 거래(B2B) 방식으로 닭 날개, 닭발 부위를 시작으로 다리살, 가슴살 등 다양한 부위를 판매한다.
세포 펠리카 아트리아 수출 매니저는 “수량보다 품질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한국산 닭고기와 비교해 지속가능한 대안이 될 수 있는 수준의 가격을 책정하려고 한다”며 “대량 생산국 대비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겠지만 품질, 지속가능성, 안전을 생각하는 고객을 타깃으로 비즈니스를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전북 익산시 하림 ‘닭고기 종합처리센터’에서 도계한 닭고기들이 총 7㎞ 길이의 벨트 라인을 200분간 지나며 육심(중심부) 온도를 섭씨 2도씨로 낮추면서 신선함은 유지하는 하림만의 독자적 공정인 ‘에어칠링’을 거치고 있는 모습.(사진=하림) |
|
북유럽 닭고기 국내 시장 진출에 따라 육계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육계 시장은 하림, 사조원, 참프레, 올품, 마니커 등 7개사가 80%를 점유하고 있다. 나머지는 기타 영세 업체와 수입산이 차지하는데, 최근 10년새 수입산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닭고기 수입량은 지난해 12만4025t으로 2011년(10만8593t) 대비 14% 증가했다. 미국산 닭고기 관세가 철폐되는 내년부터는 닭고기 수입량은 더 증가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국내산과 수입산 닭고기 품질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가격 측면에서 대량 생산을 필두로 한 기존 수입국과 경쟁하기 어렵지만 친환경과 동물복지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가 높아진 만큼 고품질 제품으로 승부한다는 전략이다.
국내 도계 업체 관계자는 “닭고기 수입 비중이 늘고 있지만 고품질 육계에 대한 니즈도 높아지고 있는 만큼 사육 환경 개선 등을 통한 닭고기 품질 제고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생존 전략을 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