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같은 발언은 6월 3일 조기 대선이 유력한 가운데 차기 정부에서는 AI 인프라, 예산, 산업 육성, R&D 등 기능을 통합해 ‘AI혁신부’ 등 신설 부처를 만들고, 과학기술은 교육부의 고등교육 기능과 합치자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선을 그은 것으로 해석된다.
유 장관은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현안 브리핑에서 조기 대선 국면 속에서도 과학기술 정책은 흔들려선 안 된다고 강조하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특히 임기 내 반드시 ‘범부처 기술사업화 비전’을 발표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취임 이후 줄곧 공공기술의 사업화를 강조해왔던 만큼 연구성과를 산업으로 연결 시키도록 정부출연연구기관을 거점 기지화하고, 기술사업화 전문회사 육성, 분야별 맞춤형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설계 등은 꼭 해놓고 떠나겠다는 것이다.
유 장관은 “대선을 2개월 내 치러야 하므로 제 임기도 2개월 남짓 남았는데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은 차질이 생기면 안되기 때문에 남은 기간 최선을 다하겠다”며 “특히 임기 내 범부처가 합심해 만든 비전을 발표하고, ICT(정보통신기술) 분야에 대해 세부 지원체계도 발표해 다음 정부가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대선 일정상 제 임기는 2개월도 채 남지 않았지만, 과학기술은 국가 미래를 책임지는 일이기에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며 “기술사업화 전문회사 육성, 분야별 맞춤형 사업화 체계 설계 등 꼭 기반을 마련해 다음 정부가 이어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의 ‘한국 민감국가 지정’과 상호관세 부과 등 외교 현안에 대해서는 “과기정통부도 실질적인 관련 부처로서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OSTP), NSF 등과 접촉해 공동연구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AI 인프라의 핵심인 GPU 확보 필요성도 재차 강조했다. 유 장관은 “AI 전환 속도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국가 전략적으로 GPU 확보가 시급하다”며 “국회가 조속히 추경을 통과시켜 연구기관, 대학, 스타트업 등이 활용할 수 있게 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15일 발효 예정인 미국의 민감국가 지정 조치에 대응해 임기 중 미국 주요 과학기술 고위 인사들과의 직접 접촉도 추진할 계획이다. 그는 “국익에 도움이 되는 합의점을 찾을 수 있도록 과기정통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외교적 협의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