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재생공단은 올해 1월 출범한 서울시 산하 신생공단으로 탄천물재생센터와 서남물재생센터를 운영하던 하수처리 민간위탁사인 탄천환경과 서남환경의 통합으로 설립됐다.
노조는 “서울시는 공단 전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노동자들에게 처우 개선을 약속하는 등 노동 중심의 정규직 전환을 펼치겠다고 약속했다”며 “하지만 서울시가 근로계약 전 급여에 대한 충분한 설명 없이 근무하는 전 직원에게 강제 퇴사를 지시하고, 강제 전환 후 삭감된 연봉으로 근로계약 체결을 일방적으로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장우찬 서울물재생시설공단 분회장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모니터링도 하고 현장 점검도 해야 하는데 야간에 혼자 근무하는 분들이 많다”며 “민간위탁시절보다 임금이 삭감된 상태로 고용 승계되는 등 노동자들의 평균 임금이 너무 낮게 책정된 것도 문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현미 민주노총 서울본부 수석부본부장도 “서울시가 기존 연봉에서 약 20% 상향되는 용역 결과를 설명회에서 언급했는데 이를 무시하고 연봉을 일방적으로 삭감했다”며 “노조 교섭 의지를 꺾고자 교섭 기간 중에 물재생공단 예비비로 전환된 53억원을 서울시 예산으로 환수해 인건비로의 전환을 막아 노동자 366명의 임금이 체불됐다”고 말했다.
노사는 올해 4월부터 진행한 13차례 단체교섭을 통해 임금 인상에 대한 견해 차이를 좁히고자 했지만 막판 협상에서 합의가 결렬된 것으로 파악됐다. 노조는 서울시에 민간위탁 근속기간을 100% 인정해 호봉을 재산정하고, 유사 업종 사업장의 임금 테이블을 적용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하지만 사측은 노조측이 당초 입장보다 무리한 임금 인상액을 요구해 협상이 타결되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공단 관계자는 “서울시에서 42억까지 합의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지만 오늘 노조가 80억원을 요구했다”며 “파업이 계속되면 공장에서 비상 상황이 생길 때 대처 능력이 떨어지고 내부적으로 시설에 대한 문제도 생기는 등 환경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고 설명했다.
물재생공단은 비상운영대책에 따라 시설물을 정상 가동하고 평상시 수준과 동일하게 운영해 노조 파업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