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인호 회장은 이날 오후 한국경제학회와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 공동으로 ‘코로나19 경제위기와 한국경제의 진로’를 주제로 진행된 토론회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 회장은 “단기 경제정책에 있어 확장적 재정정책에 대해서는 전혀 이의가 없다”면서도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가 시장 문을 닫아놓고 거기에 돈을 퍼붓는 것은 브레이크와 엑셀러레이터를 동시에 밟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회장은 “브레이크를 밟고 있는 상황이라면 코로나19로 파산이나 불연속적인 어려움을 겪는 경제 주체들에 대한 보호 측면에서 재정 자원을 최대한 아껴쓰는 식으로 재정정책을 진행하는 게 좋다”며 “경기 회복시 재정 정책이 더 적극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자원을 모아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소비 진작을 목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재정 지출에 대해서 “소비에 재정 지출을 하면 없어지는 것인데 그로 인한 재정 적자로 향후에 세수가 늘어난다는 주장은 할 수 없는 것”이라며 “물론 어려운 사람을 도와주는 것과 소비를 위한 지출은 구별되어야 하지만, 흔히 이야기해서 ‘나눠주기식’ 재정 지출은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장기적인 경제정책으로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국판 뉴딜’이 중요하다고 봤다. 다만 정부 중심으로 혁신을 이끌려고 하는 것에 대해서는 경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재정을 가지고 혁신을 만들어낼 수는 없다”며 “혁신은 민간의 창의력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재정은 혁신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디지털뉴딜 자체만으로 고용 창출 효과는 크지 않을 수 있다며, 디지털뉴딜을 통해 다른 산업 부문에서 일자리를 늘릴 수 있는 포괄적인 계획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디지털 기술은 몇 사람의 천재만으로도 이뤄질 수 있는 것으로 이 자체로 고용 효과는 크지 않다”며 “디지털 뉴딜로 경제 성장이 이뤄지면 그 수준에 맞춰 서비스, 교육, 금융 등 여타 분야에서 일자리가 늘어날 수 있도록 전체적인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그러면서 경제 정책에 있어 당위적 목적보다 그 목적을 이룰 수 있는 수단이 적절한지를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경제 문제에서는 최선책을 선택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차선책을 받아들일 수 있는 유연성이 필요하다”며 “무엇보다 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는 데 있어서 그 정책의 목적이 얼마나 당위적으로 뛰어난가하는 점도 중요하지만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수단을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