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를 막기 위한 개헌 공약도 내놨다. 대통령 4년 중임제, 국회 추천 책임총리제 도입, 외치-내치 분담형 권력 구조 개편 등을 약속했다. 선거관리위원회에 대한 신뢰 회복을 위한 행정개편도 예고했다.
나 의원은 이번 대선을 ‘자유 진영 대 반헌법 세력’ 간의 체제 경쟁으로 규정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의 1당 독재 체제 하에 견제를 받지 않아 나치 히틀러식 다수결 독재를 일삼고 있다”며 “입법 권력에 이어 행정 권력까지 민주당에 넘어가면 진정한 민주당 독재 시대가 열린다. 이를 막아야 하지 않겠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번 선거의 본질은 체제 전쟁”이라며 “자유 대한민국을 지킬지, 아니면 반헌법 세력에 대한민국을 헌납할지를 묻는 제2의 6·25전쟁”이라고 강조했다.
안보 분야에서 나 의원은 ‘힘에 의한 평화’를 주장하며 “북핵 완전 폐기를 위한 자체핵무장을 미국과 협의해 1년 안에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사회·경제 분야에선 △잠재 성장률 1% 제고 △국민소득 4만 달러 달성 △2045년까지 선진 5개국(G5) 도약을 공약했다. 그를 위한 방안으론 △100조 원 규모 미래 성장 펀드과 AI미래기금 조성 △외국인 근로자 차등 임금 △신혼부부 최저금리 대출 △연 2회 수능 실시 등을 제시했다.
한편, 정치권에서는 나 의원의 출마를 두고 김문수 전 장관의 이미지가 상당 부분 겹친다는 분석이 나온다. 두 사람 모두 윤 전 대통령 탄핵에 강하게 반대하면서 보수 진영 내 강성 지지층을 집중 공략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윤심’을 등에 업고 경선 무대에 등장한 두 인물의 유사한 캐릭터는 향후 당내 경선에서 상호 지지율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이를 반영한 듯, 질의응답에서도 관련 질문이 나왔다. 나 의원은 “크게 보면 탄핵 찬성·반대라는 축에서 지지층이 겹친다고 할 수 있다”며 “커리어를 기반해서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미래에 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한 차이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선의의 경쟁을 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당내 경선 제도에 대한 불만도 드러냈다. 나 의원은 “당이 경선 룰을 자주 바꾸는 것은 늘 분쟁의 씨앗이 된다”며 “이번 경선도 대선 후보를 당원 50%, 국민여론 50%로 반영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누구에게 유리하도록 만든 경선이라는 오해가 없도록 해야 한다”며 “예비 경선이라 하더라도 당원 1%만 반영하는 방식은 동의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나 의원은 5선 중진의원으로 계엄·탄핵국면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 목소리를 내는 데 앞장섰다. 이 때문에 나 의원의 대선 출마 선언에 윤심, 즉 윤 전 대통령의 의중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다음 날인 5일에는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윤 전 대통령을 예방했고, 이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이 나 의원에게 직접 대선 출마를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