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인]1.9% 불과한 '델타 변이'두고 우려 커지는 이유

함정선 기자I 2021.06.23 16:31:25

가을이면 델타 변이가 유행 주도할 것이라는 전망
백신 접종률 1차 30%, 2차 8%대 그쳐
7월 거리두기 완화하며 방역 느슨 우려도
일부선 거리두기 완화 늦춰야 한다는 주장도
전문가들 "변이 거듭될 것…지속 가능한 방역 찾아야"

[이데일리 함정선 박경훈 기자] 국내 델타 변이 바이러스 비중은 1.9%에 불과하지만 우려는 끊이지 않는다. 가을이면 델타 변이가 국내 유행을 주도할 수 있고 델타 변이 때문에 대유행이 올 것이라는 전망까지 제기된다. 이는 국내 백신 접종률이 여전히 낮은데다 수개월 이어온 거리두기 완화를 눈앞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백신 보호막을 채 세우지도 못한 상황에서 방역이 느슨해진 틈을 타 전파력이 높은 델타 변이가 국내 4차 유행을 몰고 올 수 있다는 우려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델타 변이 확대를 막기 위해 거리두기 완화를 미뤄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지만 당국은 마스크 착용 등 기본 방역 수칙을 지키면서 백신 접종을 확대한다는 방침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자체가 변이를 거듭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등장할 때마다 봉쇄나 거리두기 강화를 거듭하는 것이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백신 접종하면 예방할 수 있지만…2차 접종 10% 못 미쳐

우리나라 역시 다른 국가처럼 델타 변이에 취약할 것이라고 우려하는 이유는 아직 낮은 국내 백신 접종률 때문이다.

델타 변이의 경우 백신을 접종했을 경우 화이자는 87%, 아스트라제네카는 60% 수준의 예방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백신 접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내 백신 접종률은 1차 접종 기준 30% 수준으로 이마저도 아직 낮은 수준이지만 문제는 2차 접종이다. 2차 접종률은 8%대에 그치고 있다.

델타 변이에 대한 백신 예방 효과는 2차 접종까지 마쳤을 경우다. 전문가들은 1차 접종의 경우 예방 효과가 30%대로 떨어진다고 본다. 2차 접종률이 10% 미만이다 보니 델타 변이의 위험성이 더 클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1500만명의 1차 접종자 중 1000만명 이상이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자로, 이들의 2차 접종 간격이 11주이기 때문에 2차 접종률을 끌어올리는 데 걸리는 시간도 꽤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아스트라제네카는 알파 변이에는 강하고 델타 변이에는 약한 편인데, 2차 접종까지 간격이 길다 보니 1차 접종자들이 델타 변이 감염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고 설명했다.

[사진공동취재단]
◇7월 거리두기 완화도 ‘우려’…전문가들 “지속가능한 방역 찾아야”

백신 접종률이 낮은 상황에서 7월에는 거리두기 개편과 백신 인센티브 적용 등으로 방역이 완화하며 델타 변이가 확산하기 좋은 환경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수개월 지속해온 거리두기 완화로 모임과 접촉이 늘어나고, 실외 마스크 착용 제외 등 백신 인센티브가 시작됨에 따라 일부에서는 마스크 착용 등 개인 방역도 느슨해질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한편에서는 백신을 어느 정도 접종할 때까지 거리두기 개편을 미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그러나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의 경제적 어려움과 거리두기에 대한 피로감 등을 고려할 때 거리두기를 더는 연장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마스크 착용 등 기본적인 방역 수칙을 더 철저하게 지키면서 백신 접종을 확대해야 한다는 게 정부 복안이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경우 변이가 거듭되고 있어 언제까지 거리두기 강화만으로 이를 막을 수만은 없다는 의견도 있다. 인도 보건당국에서는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이 더 강한 ‘델타 플러스’가 발견됐다는 보고가 나오기도 했다.

김윤 서울대 의료관리학과 교수는 “델타 말고 또 다른 변이가 계속 나올텐데 사회적 거리두기를 평생 강화하고 살 수는 없는 일”이라며 “백신 접종으로 감염재생산지수가 예전처럼 급증하기 어렵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 등 철저한 방역을 통해 대규모 감염을 막는 방식으로 지속 가능한 방역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국내 델타 변이 확산을 최대한 막으면서 부스터샷(3차 접종) 또는 델타 변이 예방 효과가 큰 백신 개발 등을 기다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델타 변이가 확산된 국가의 입국 등을 철저하게 관리하면서 국내 전국 확산을 막다 보면 델타 변이를 막는 백신 등 보완책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